입원대기 환자 680명 달해...환자 증가세 너무 빨라 치료병상·의료인력 확보 버거워
"환자 중증도 따라 자가격리치료·의료기관 배정 등 체계적 접근 필요"

[라포르시안] 열흘 사이에 1,300명이 넘는 코로나19 확진 환자가 발생한 대구 지역으로 의료체계 붕괴를 막기 위한 의료자원 지원이 쇄도하고 있지만 여전히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환자가 수백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 대구시에 따르면 28일 오전 9시 현재 전국의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전일(27일) 오후 4시 대비 256명이 추가로 확인돼 누적 환자수는 총 2,022명으로 늘었다.

전체 확진자 가운데 대구(1,314명)와 경북(394명)에서 발생한 환자수가 총 1,708명에 달한다.

특히 대구에서는 지난 18일 첫 확진자가 확인된 이후 28일 현재까지 열흘 만에 무려 1,314명의 환자가 발생하면서 지역 의료시스템이 감당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섰다.

대구에서 발생한 전체 확진환자 1,314명 가운데 634명은 대구의료원(229명)과 계명대 대구동산병원(233명), 계명대 동산병원(7명), 대구보훈병원(17명), 대구가톨릭대병원(33명) 등으로 분산해 입원됐다.

현재 대구시의 감염병전담병원은 대구의료원, 대구동산병원, 근로복지공단 대구병원, 대구보훈병원 등 4곳이다.

4개 거점병원 가운데 근로복지공단 대구병원은 오늘(28일) 오후부터 코로나19 경증환자에 대한 진료와 치료를 시작할 예정이다. 대구의료원도 기존 입원환자를 다른 병원으로 옮기고 전체 373개 병상을 확진자 치료병상으로 활용한다.

계명대 대구동산병원은 지난 27일 기준으로 340여명의 의료진이 230여명에 달하는 코로나19 확진 환자를 치료하고 있다. 대구·경북 지역에서 확진자가 증가함에 따라 63개 병상을 추가 가동할 예정이다.

대구시 브리핑 자료 참고. 표 제작: 라포르시안
대구시 브리핑 자료 참고. 표 제작: 라포르시안

그러나 지난 22일부터 최근까지 하루에 100명이 넘는 환자가 발생했고, 특히 지난 26일과 27일에는 각각 340명과 297명의 확진자가 나타나면서 이들을 격리치료할 수 있는 병실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대구시가 지난 27일 하루 동안 대구의료원과 대구보훈병원, 국립마산병원, 국군대전병원 등에 187명을 입원 조치했지만 아직까지 자택에서 입원 대기 중인 환자가 680명에 달한다.

이 때문에 어제는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70대 남성이 병상 부족으로 입원대기 상태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 채 숨지는 일도 있었다. 지금까지 대구에서 코로나19 확진 후 숨진 사망자만 4명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28일 오전 브리핑에서 "확진 판정 후 이 분들에 대해서도 하루 빨리 입원 치료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돌아가신 분은 비록 20년 전 이식수술을 받은 기저질환이 있었다고는 하나 더 치밀하게 관리하지 못한 잘못이 있었다. 다시는 이런 일이 되풀이 되지 않도록 환자 관리에 더 치밀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대구시는 입원대기 중인 환자 관리를 위해 대구시의사회 소속 의사 70여 명이 1인당 10~30명 정도의 환자를 직접 관리하면서 기저질환이나 현재 건강상태를 체크하도록 하고 있다.

정부는 대구지역에서 코로나19 유증상자 진단검사를 검체 채취와 확진자 치료를 담당할 의료인력과 자원을 지원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우선 지난 24일부터 대구 지역에서 전수조사를 위한 검체 채취에 필요한 의료인력을 모집한 결과 28일 오전 9시 현재까지  총 853명(의사 58명, 간호사 257명, 간호조무사 201명, 임상병리사 110명, 행정직 등 227명)이 지원했다.

국방부에서도 국군의무사령부를 중심으로 '국군의료지원단'을 구성하고 대구·경북 지역 주민에 대한 의료지원을 위해 군의관, 간호장교 등의 인력을 파견했다.

이런 가운데 지금부터 코로나19 감염의 확산 속도를 조금이라도 늦춰 국내 의료시스템이 적절한 환자치료가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구 지역처럼 지역사회 의료인프라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록 감염이 확산되면 중증도에 따른 의료자원의 효율적 이용 전략을 수립해 사망자 발생 등의 건강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방역 대응의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특히 응급환자, 노인 및 만성질환자 등의 진료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실효성 있는 의료전달체계를 수립해야 건강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국립중앙의료원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오명돈 위원장(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은 "증세가 가벼운 환자는 자가격리 치료로 전환하고, 폐렴이 있고 중증인 환자(13.8%)는 2차 및 3차 의료기관, 심각한 환자(4.7%)는 인공호흡기 등 중환자 치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으로 각각 배정해 사망률을 적극적으로 낮추는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오명돈 위원장은 "휴교와 재택근무, 문화체육 행사 연기 등의 대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는 코로나19 확산시기의  최고점을 늦추는 동시에 환자 수를 줄여서 국내 의료시스템이 이를 감당할 수 있게끔 시간을 버는데 있다"며 "완화정책에서 방역의 주체는 국민이기 때문에 이런 점을 잘 이해하고 협조하는 것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