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100대 품목중 국내 제약사 제품 계속 감소..."공공병원 처방목록에 의무 등재 필요"

[라포르시안] 국내 제약업계의 혁신신약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국내 개발 신약을 공공병원 처방의약품 목록에 의무 등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공공병원을 중심으로 국산 신약 처방이 활성화되면 시장진입도 그만큼 촉진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16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발간한 ‘KPBMA Brief’ 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2~2016년) 상위 100대 품목 중 국내 제약기업 제품은 2012년 43개에서 2016년 41개로 줄었다.

같은 기간 상위 100대 국내 제약기업 제품의 청구액은 1조3,037억원에서 1조1,502억원으로 12% 감소했다. 

이 기간 동안 100대 품목 전체 약품비 청구액 중 국내 제약기업의 청구액 비중은 41.1%에서 34.4%로 낮아졌다.

제약바이오협회는 이처럼 국내 제약기업의 시장점유율이 계속해서 감소한 원인으로 정부 기관의 다수 임상데이터 요구 등에 따라 국내 개발 의약품의 시장 진입이 늦어지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협회는 국내개발 의약품의 느린 시장진입은 사용례가 부족해 매출 및 청구실적 저조를 초래하고, 투자비 회수 장기화로 적응증 확대를 위한 임상시험이 지연되면서 시장점유율 하락으로 이어진다고 우려했다.

국내 제약사의 혁신신약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선 공공의료기관 처방의약품 목록에 국내 개발신약 의무 등재 또는 우선입찰제도 운영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협회는 보고서를 통해 “정부가 의료기관평가나 지원정책을 집행하며 국내 개발 신약 사용실적을 평가지표나 지원정책 가점요소에 반영한다면 국내 개발신약이 시장에 진입하는 속도는 더 빨리 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제약바이오협회는 이 보고서에서 신약개발 패러다임 변화를 비롯해 정책변화에 따른 제약시장 동향 및 진출전략 등 다양한 주제를 다뤘다.

‘신약개발 패러다임 변화’ 분야에서는 주철휘 세종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교수가 가설기반에서 인공지능 기반으로의 신약개발 패러다임 변화에 대해 소개했다.

주 교수는 “AI가 이미 신약개발 전주기에 적용되어 전통적 패러다임을 급격하게 바꾸고 있다”며 “이러한 변화의 파고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 신속하고 영민하게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