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역 중심으로 고강도 방역 대책 지속...환자 치료센터 확충 적극 추진

대구가톨릭대병원 선별진료소 내 의료진 모습. 사진 제공: 대구가톨릭대병원
대구가톨릭대병원 선별진료소 내 의료진 모습. 사진 제공: 대구가톨릭대병원

[라포르시안] 코로나19 환자가 대구·경북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구 고위험군 노출 시점과 잠복기 등을 고려할 때 앞으로 1~2주가 감염 확산 사태의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코로나19의 ‘유입·확산 차단'과 '피해 최소화 전략' 투트랙으로 방역 대응을 집중한다.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3일 ‘코로나19 방역 대응 현황 및 계획’을 종합적으로 논의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현재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확진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나, 전국적인 확산·전파는 빠르게 진행되지 않는 상황이다.

3일 오전 0시 기준으로 국내 확진자 수는 총 4,812명으로 늘었고, 이 가운데 대구(3,601명)와 경북(685명)의 확진자가 4.286명으로 전체의 약 88%를 차지하고 있다.

정부는 이런 상황을 감안해 국외 유입 차단 및 진단검사와 역학조사를 통해 확진자를 찾아내고 격리하는 ‘유입·확산 차단 전략’은 지속하는 동시에 코로나19의 높은 전파력, 지역사회 확산 가능성을 감안한 ‘피해 최소화 전략’도 병행하기로 했다.

우선 감염 고위험군인 신천지 신도를 중심으로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대구 지역에는 고강도의 방역 대책을 지속할 방침이다.

대구 지역에서 입원치료 병상 확보가 지연되고 자택 대기자가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활치료센터’를 통해 경증환자를 관리하고, 신천지 신도와 일반 시민 중 유증상자 등에 대한 진단 검사도 계속 실시한다. 충분한 병상 확보를 위해 대구 지역뿐만 아니라 광주, 경남, 경북, 충남, 충북 등 다른 지역의 자원도 계속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지난 2일부터 운영을 시작한 ‘대구1 생활치료센터’(중앙교육연수원)는 3일 오전 8시 기준으로 총 138명의 경증 확진자가 입소를 완료했다. 입소자 중 41명은 병원(동산병원 39명, 칠곡경북대병원 2명)에서 퇴원한 확진자이고, 97명은 자가격리 중이었던 확진자이다. 오늘(3일) 중으로 22명의 경증 확진자가 추가로 입소한다.

오늘 오후부터는 ‘경북대구1 생활치료센터’(영덕 삼성인력개발원)와 ‘경북대구2 생활치료센터’(경주 농협교육원)가 운영을 시작해 확진자가 입소할 예정이다.

중대본에 따르면 경북대구1 생활치료센터에는 210명, 경북대구2 생활치료센터에는 235명의 경증확진자가 입소할 수 있으며, 센터 소재지가 경북 지역임을 감안하여 대구시 이외에 경북의 경증 확진자 입소도 가능하다.

중대본은 서울대병원과의 협진을 기반으로 서울대학교병원 인재원(문경시 소재)을 활용한 ‘경북대구3 생활치료센터’의 개소도 준비 중이다.

대구와 경북 지역 외에도 전국적인 방역 대책도 분야별로 대응 현황을 점검하고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방역체계 강화를 위해 선별진료소 및 진단검사를 지속 확대하고, 국외 유행 상황과 국내 확산상황을 감안해 중국 등에 대한 유입차단 조치를 지속한다.

특히 보다 신속한 역학조사를 위해 개별 사례조사는 일차적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선제적으로 시행하고, 의료기관, 집단시설 등에 대해서는 중앙방역대책본부 즉각대응팀이 지원해 확산 차단에 나선다.

환자치료 관리체계도 재구축해 전국적인 환자 증가에 대비할 방침이다.

환자를 중증도에 따라 4단계로 분류해 증상에 맞게 병상 등을 배정하고, 입원치료 병상도 지속적으로 확보한다.

이를 위해 감염병전담병원을 전국적으로 56개 지정·운영하고, 높은 치료역량을 갖춘 상급종합병원과 대학병원 등에서 중증 이상의 환자를 치료할 수 있도록 병상을 추가로 확보하기로 했다.

의료인력의 경우 지역의 환자 치료와 방역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신규 공보의 750명을 조기 임용하고 간호인력 민간 모집을 통해 인력 소요를 적시에 충족할 계획이다.

한편 박능후 복지부 장관(코로나19 중대본 1차장)은 오늘 오후 경북대구1 생활치료센터(영덕 삼성인력개발원)를 방문해 센터 설치·운영 상황을 점검했다.

박 장관은 "민간의 적극적 협력에 의해 경북대구1 생활치료센터의 개소가 가능했고, 앞으로도 민관 협력모형에 의한 생활치료센터 설치가 최대한 확대될 수 있도록 중대본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며 강조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