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건강보험 급여 확대로 치과 의료기기업체 매출 급성장…“보장성 확대와 적정 수가 보장이 근본적 해법”

[라포르시안]  헬스케어 산업을 육성한다는 취지로 각종 규제완화 정책이 쏟아지고 있다.

신의료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의 시장진입을 막는 각종 규제를 덜어내고, 신제품의 연구개발부터 승인까지 시간을 단축하는 쪽으로 규제를 완화하는 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새로운 의료기기 제품의 시장진입이 빨라지는 만큼 안전성과 유효성 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채 임상에 적용돼 환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불필요한 의료비 지출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높다.

이런 우려에도 아랑곳 없이 정부는 '빨리빨리'를 위한 규제완화를 미덕으로 여기고, 시장진입 촉진을 위한 규제 덜어내기에 몰두하는 모습이다. 오로지 헬스케어 산업 육성을 위해서다. 그러나 정작 의료기기산업 분야에서 시장을 키우는 건 따로 있었다. 규제완화가 아니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였다. 치과용 의료기기 관련 업체의 시장 상황이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7일 보건의료 분석평가 사이트인 팜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27개 상장 의료기기업체의 2015년도 잠정 영업실적(24개사 연결기준, 3개사 개별기준)을 분석한 결과, 전체 매출액은 1조9533억원으로 전년도의 1조7355억원 대비 12.6% 증가했다.

전체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각각 50.4%, 148.1% 증가한 2216억원과 1460억원으로 집계됐다.

 

▲ 표 출처: 보건의료 분석평가 사이트 '팜스코어'

상장 의료기기업체 중 매출액 1위는 치과용 임플란트 전문업체인 오스템임플란트였다.

오스템임플란트의 작년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18.6% 증가한 2829억원에 달했다. 이는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임플란트의 건강보험 급여 확대로 내수실적 향상과 해외 임플란트 수요증가에 따른 해외법인의 실적 증가세 때문으로 분석됐다.

매출액 2위는  치과용 엑스레이 전문업체인 바텍으로 전년동기 대비 11.6% 늘어난 2174억원을 기록했다. 

다음으로 의료용 로봇 전문업체인 로보스타 1358억원, 치과용 의료기기업체인 신흥 1254억원, 초음파 진단기기업체인 피제이전자 1048억원, 혈당측정기 전문업체인 아이센스 1019억원, 의료용 이미징 솔루션 전문업체인 뷰웍스 933억원, 임플란트 전문업체인 디오 731억원, 안 광학 의료기기업체 휴비츠 727억원,  레이저 의료기기 전문업체인 루트로닉 721억원 등의 순이었다.

의료용영상저장전송장치(PACS) 전문업체인 인피니트헬스케어의 2015년 매출이 617억원으로 2014년(627억원) 대비 1.5% 감소했다.

자가혈당측정기 전문업체로 원격의료 활성화의 수혜기업으로 꼽히던 인포피아의 매출도 502억원으로 전년도(550억원) 대비 8.8%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의료기기업계의 이런 상황은 인구 고령화와 그에 따른 관련 건강보험 보장성이 확대되면서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치과용 임플란트, 인공관절, 안광학 장비 등의 품목이 시장을 육성하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걸 보여준다. 

앞서 정부는 작년 7월 틀니 및 치과임플란트 건강보험 급여 대상 연령을 기존 만 75세에서 70세 이상으로 확대하고, 레진상 완전틀니 외 금속상 완전틀니도 건강보험 적용 대상에 포함했다.

여기에 올해 7월부터는 임플란트와 부분틀니의 건강보험 적용연령이 만 65세 이상 노인으로 더 확대될 예정이어서 관련 업체들의 매출 증가세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화는 안과용 의료기기 시장의 성장도 견인하고 있다.

자동검안기와 렌즈가공기 등의 안과용 의료기기 전문업체인 휴비츠는 지난해 727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도(639억원)대비 13.6%의 높은 증가세를 기록했다.

인공관절 제품 전문업체인 코렌텍도 작년에 303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도 대비 14.2%의 매출 증가세를 보였다.

한 의료기기업체 관계자는 "국내 의료기기 시장은 정부의 보건의료 정책 방향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한다"며 "특정 산업을 육성하는 취지로 규제완화를 추진하더라도 병원과 의료계의 호응을 얻지 못하면 관련 산업이 제대로 성장할 수 없다. 전국민 건강보험제도를 실시하는 우리나라에서는 건강보험의 보장성 확대와 적정 의료수가 적용이야말로 병원과 환자, 의료산업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근본적인 해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