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건(근로복지공단 산재의료이사)


근로복지공단이 한국산재의료원과 통합한 지 1년 8개월이 지났다. 공단 측은 산재병원들을 직영화하면서 산재환자 점유율과 직업복귀율이 통합 이전 보다 향상됐다고 자평하고 있다.

하지만 산재 수가체계 및 장기입원환자 관리시스템 개선 등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숙제도 산더미다. 이런 가운데 대구재활산재병원이 내년 4월 문을 연다. 250병상 규모로 국내 최대 규모의 아쿠아 클리닉도 갖췄다. 공단은 이 병원을 통해 '한국형 산재의료모델'을 완성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우고 있다.

통합 전후로 산재병원의 경영을 총괄해 온 구본건 산재의료이사를 만나 근로복지공단 산재의료원의 비전에 대해 들어봤다.

-통합 이후 노사분규가 한 건도 없었다고 들었다.   

"통합되면서 연례 행사였던 노사분규가 거의 사라졌다. 과거엔 노조와 사측이 소통을 못했던 거다. 소통을 위해서는 노사간 신뢰가 쌓여야 하는 건데, 그런 통로가 없었다. 새가 한쪽 날개로 날 수 없듯이 노사도 이와 같다. 그래서 노조를 대상으로 병원의 발전 방향을 구체적으로 알리는 자리를 마련했다. 노조도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놓기 시작했고, 어느새 노사 관계가 조금씩 회복되어 갔다."

-산재환자단체들과는 어떻게 소통하고 있나?

"기존엔 산재병원 측이 환자단체를 볼 때 장기입원환자를 양산하고 선동하는 단체로 색안경을 끼고 봤다. 하지만 환자 입장에서는 당장 급여 혜택이 절실한데 급여를 조기 종결하는 병원에 당연히 항의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서로 윈윈할 수 있는 접점을 찾는 게 핵심이다. 공단은 환자단체들에게 환자를 조기에 치유하고 현장 복귀율을 높여 삶의 질을 올리는 것이 산재병원이 존재하는 이유란 점을 충분히 설명할 의무가 있다. 임기 전에라도 산재병원이 추구하는 방향과 장기환자로 인해 다른 환자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부분을 잘 알리는 자리를 마련하고 싶다."  -대구재활산재병원이 제공하는 차별화된 의료서비스란 무엇인가?"병원에 내원한 환자를 무료하지 않게 할 작정이다. 완전한 환자중심병원을 만들자는 얘기다. 우선 성인병이 많을 수밖에 없는 재활환자들을 고려해 맞춤형 식단을 제공할 계획이다. 환자뿐 아니라 직원들도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는 미용실을 입점시킬 계획이다. 접수데스크 직원도 장애인을 채용해 환자를 응대하게 하고, 헬스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짜 환자와 직원이 어울려 자연스럽게 재활치료 효과를 볼 수 있게 하고 싶다. 담장을 허문 친환경 병원은 지역민 누구나 방문해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이다."

-대구재활산재병원과 지역의료기관이 상생하는 방안은?

"얼마 전 칠곡경북대병원 및 대구대학교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경북대병원에서는 임상교수를 파견하고, 우리는 의사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경북대병원에서 급성기 치료를 받고 산재병원으로 전원하는 시스템도 갖췄다. 대구대는 재활치료를 돕는 사회복지인력들을 배출하는 곳으로, 이들이 우리 병원에서 현장실습을 하고 마음껏 연구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우리나라 산재병원들이 적자경영에 시달리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장기입원 재활환자들이 40% 이상을 차지하는 병원들이 아직 많다. 향후 일차적인 전문재활치료를 받고 나면 적어도 6개월 이후엔 퇴원하게끔 하는 규정을 확고히 만들 것이다. 또한 재활치료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연구 기능을 강화하고, 적정 산재수가체계를 개선하는 게 시급하다. 현 수가는 원가의 70%에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구재활산재병원에서 산재진료수가의 원가를 분석할 수 있는 자료 생성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산재의료 발전을 위해 전문 인력 확보도 중요한데, 인력 수급 현황은? "직업환경의학(구 산업의학) 전문의가 많이 부족하다. 얼마 전에도 산하 병원에서 산업의학 전문의를 채용하는데 애를 먹었다. 몸값도 많이 뛰었다. 불과 2~3년 전에 비해 2배로 뛰었다. 월 평균 1,400만원 급여에도 잘 오지 않는다. 고용노동부에서도 전문의 인력이 부족한 상황을 알고는 있는 데 아직 뾰족한 방법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노동부와 복지부, 양 부처의 관리를 받아야 하는 입장인데, 어려운 점은 없나?

"노동부와 복지부로부터 예산을 받아야 한다. 특히 편성되는 예산 규모는 답답한 부분이 많다. 내용도 제대로 검토하지 않고 예산 삭감에 치중하는 게 보인다. 따라서 공단이 한국산재의료원과 통합하면서 발생하는 인력 수요를 충당하기 힘들다. 그나마 다행스럽게도 내년부터 공단본부 및 산재병원들의 리모델링이 본격 시작된다. 이전보다 본부나 병원 간 인사 이동도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기사의 위치정보 보기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