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포르시안]  국내 의료진이 우리 몸의 세포를 이루는 유전자 중의 하나인 ‘DKK3' 유전자가 암세포 억제유전자임을 규명했다. 

중앙대병원 산부인과 이은주 교수<사진>팀은 DKK3 단백질이 여러 암세포에서 발현이 감소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해당 유전자를 다시 발현을 시켰을 때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베타 카테닌’의 발현을 억제시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것을 세포실험을 통해 처음으로 입증했다고 2일 밝혔다.

이 교수팀은 자궁경부암, 난소암, 위암 환자의 조직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자궁경부암 환자의 65%(88명 중 57명), 난소암 환자의 61%(69명중 42명), 위암 환자의 41%(158명 중 64명)가 DKK3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 자궁경부암 및 위암 환자의 병기가 높을수록 DKK3 단백질이 감소되었으며, DKK3 단백질 발현이 감소된 환자일수록 자궁경부암 및 위암의 재발이 더 빨리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비교적 다양한 암들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된 것으로 나타나 향후 DKK3 유전자가 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은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DKK3 유전자가 자궁경부암 환자의 무병 생존율과 난소암 환자의 항암치료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위암 환자의 수술 전 병기를 결정할 때 CT검사와 함께 병용하면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재 다학제적 연구진에 의해 임상 바이오 마커 활용 및 암 치료제 개발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진행 중에 있어 향후 암 치료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이 교수의 연구결과는 지난달 14일 중국에서 개최된 ‘아시아 유전자 치료 심포지엄’에서 발표됐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