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포르시안] 우리나라 자궁외 임신 발생률이 임산부 1000명당 17.3명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을지병원 산부인과 육진성(사진) 교수는 최근 '2009~2015년 대한민국 자궁외 임신 발생률'에 대한 연구 결과를 통해 이렇게 밝혔다. 

자궁외 임신은 산부인과에서 가장 흔하게 보는 응급질환으로 임신과 관련된 사망 원인의 7%를 차지한다. 

육 교수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 7년간 심사평가원 표본환자 자료를 바탕으로 총 447만6,495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임신(분만, 유산 또는 자궁외임신) 기록이 있는 36만9,701명을 추출했다. 전체 임신 중 자궁외 임신은 총 8,556건으로 임신 1000건당 17.3±0.3건이다. 

자궁외 임신이 발생한 신체 부위는 난관 또는 난소에 임신한 경우(91.5%)가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자궁각 임신(5.9%), 자궁 경부 임신(1.9%), 복강 내 임신(0.9%) 순으로 나타났다.

7년간 자궁외 임신이 나타난 여성의 평균연령은 31.1세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나이가 증가할수록 자궁외 임신의 발생률도 증가했다. 이는 연령에 따라 나팔관의 구조와 기능이 떨어지고 골반염 등으로 나팔관이 손상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15~24세 사이의 젊은 여성이 25~39세 사이의 여성보다 자궁외 임신 발생률이 높게 나오는 특히 현상도 관찰됐다. 

의학적인 원인보다는 사회적인 이유로 추정됐다. 즉 결혼적령기인 25~39세 사이 여성이 15~24세 사이의 젊은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공유산을 적게 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인공유산은 정상임신이 된 경우에도 개인적인 이유로 행해지는 사례가 많지만 대부분 불법이다. 

인공유산은 대부분 비밀리에 행해지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를 산출하기 어렵다. 인공유산의 횟수가 줄어든다면 정상임신이 유지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전체 임신(분만, 유산, 자궁외 임신)중 분만의 비율이 높아진다. 결국 전체 임신에서 자궁외 임신의 비율은 줄어들 수 밖에 없다. 

육진성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임산부의 나이가 증가할수록 자궁외 임신도 증가한다는 점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한편으로는 7년간 자궁외 임신의 발생률에 큰 변화가 없었다는 점은 인공유산의 비율이 변화가 없음을 의미한다. 최근 수년간 시민단체에 의한 낙태반대운동이 있었지만 그 효과가 미미하다는 것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2013년 발표된 육 교수의 후속 연구로 최근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실렸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