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의무기록 조사 통해 분석...11년새 생존율 4배 높아지고 지역간 격차 2배 증가

[라포르시안] 지난해 심장정지 환자 생존율이 11년 전인 2006년보다 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은 119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사례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를 21일 공동으로 발표했다. 

질병관리본부 등에 따르면 2017년 119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 건수는 2만9,262건으로 11년 전인 2006년보다 50% 이상 증가했다.  

심장정지 발생건은 2006년 1만9,480건에서 2011년 2만6,382건, 2015년 3만771건, 2017년 2만9,262건으로 집계됐다. 

심장정지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2006년 39.8명에서 2011년 52.6명, 15년 60.4명, 2017년 57.1명이다. 

환자 중 남자 비율은 64~65%로 여자보다 약 2배 많이 발생했다. 

급성심정지가 발생하는 주원인은 '질병'에 의한 것으로 전체 발생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질병 중에는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심장의 기능부전으로 인한 것이 95%로 나타났다.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소는 가정으로 전체의 약 50%를 차지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2017년 생존율은 8.7%, 뇌기능 회복률은 5.1%로 2006년 대비 각각 3.8배, 8.5배 증가했다. 2016년에 비해서도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생존율과 뇌기능 회복률이 높아진 긍정적인 변화도 있는 반면에 생존율의 지역간 격차는 2006년 4.2%p에서 2017년 8.6%p로 2배 정도 커졌다. 

뇌기능 회복률의 지역간 차이는 2017년에는 전년보다 감소했으나 2006년 1.6%p에서 2016년 7.3%p, 2017년 5.9%p로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다. 

심폐소생술의 일반인 시행률은 매년 증가 추세로 2017년에는 9년 전에 비해 약 11배 증가(2008년 1.9% → 2017년 21.0%)했고, 지역 간 시행률 격차도 2008년 2.5%p에서 2017년 26.9%p로 함께 증가하고 있다. 

심폐소생술 국민운동본부 하정열 이사장은 "환자 발견시에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도록 하고 심장정지가 가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모두가 심폐소생술에 관심을 갖고 익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