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치매의 발병 원리를 밝혀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문길주) 의공학연구소 테라그노시스연구단 신연균 교수(KIST 겸직연구원, 아이오와 주립대 교수), 포스텍 이남기 교수, 성균관대 권대혁 교수 연구팀은 첨단 단분자 융합 연구방법을 이용해 알파시뉴클린 응집독소체가 뇌 활동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시냅스에서의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저하시켜 치매를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오늘(19일)자로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전체 치매환자 중 약 30%는 알파시뉴클린(alpha-synuclein)이라는 뇌신경세포 단백질의 변질에 의해 발병된다고 알려져 있다.

시냅스에서의 신경전달물질 분비는 이를 저장하는 포낭 주머니가 뇌세포막에 융합해 일어난다

공동연구팀은 스내어(SNARE)라는 단백질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개개의 포낭을 세포막에 융합시키고 그 융합과정을 조정하는지를 단계별로 분리 측정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 과정에서 알파시뉴클린이 정상적인 상태일 경우 스내어 단백질을 돕는 역할을 하지만, 여러 개가 엉켜 독소로 탈바꿈하면 스내어 단백질에 들러붙어 이들의 세포막 융합 활성을 무력화 시키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알파시뉴클린 응집독소체가 여러 개의 포낭 주머니들을 응집하도록 만들어 시냅스로의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급격히 저하시킨다는 것도 밝혀냈다.

KIST 신연균 교수는 “이번 발견은 치매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며 “치매 유발의 또 하나의 중요 인자인 베타아밀로이드(beta-amyloid)라는 단백질 또한 비슷한 메커니즘을 통해 치매를 유발할 것으로 보이며, 스내어 단백질의 무력화가 대다수의 치매 발병의 근본적 원인 중의 하나일 것으로 예상된다” 고 말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