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포르시안] 임신성 고혈압이 만성 고혈압으로 이어지지 않으려면 체중조절 등 적극적인 생활습관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박성지 교수<사진>·황지원 임상강사 연구팀은 9일 지난 2005년부터 2012년 사이 임신성 고혈압을 진단받고 출산까지 마친 산모 600명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임신성 고혈압은 단백뇨의 동반 없이 임신 주수 20주 후 혈압 측정 시 수축기 140mmHg, 확장기 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임신성 고혈압 진단을 받은 산모 10명 중 1명은 출산 후에도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임신 중 발생한 고혈압이 만성 고혈압으로 전환돼 평생 건강을 위협하게 된다는 의미다. 

이처럼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는 이유는 높은 체질량 지수, 임신성 고혈압이 이른 시기에 발생하면서 장기부전이 동반되어 있는지 여부, 흡연력 등이 위험인자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600명의 산모를 출산 후 만성적인 고혈압으로 이어진 산모(41명)와 정상혈압을 되찾은 대조군(559명)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만성 고혈압군과 대조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우선 체질량 지수(BMI)에서 나타났다. 만성 고혈압군의 BMI는 23.98(kg/㎡)로 대조군21.87(kg/㎡)에 비해 다소 뚱뚱한 것으로 분석됐다. 임신 당시 체중이 증가한 상태가 지속될 경우 만성 고혈압으로 진행될 위험이 그 만큼 더 높다는 것이다.

임신성 고혈압이 임신 20주 이전에 발병하면서 장기부전을 동반하는 경우도 만성 고혈압과의 연결고리 중 하나로 지목됐다. 만성 고혈압군의 경우 이러한 경우가 전체 41.5%(17명)을 차지했던 데 반하여 대조군에서는 14명(2.5%)에 불과했다.

이밖에 두 군의 흡연력 또한 각각 4.9%(2명), 0.5%(3명)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박성지 교수는 "이런 위험인자를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는 경우 만성 고혈압으로 전환될 위험이 더 높다"며 "산모는 물론 의료진 모두 위험요소들은 미리 파악하고 관리해야 임신성 고혈압이 만성 고혈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예방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메디슨(Medicine)' 최근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