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포르시안]  췌장암의 전구병변으로 알려진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의 경우 수술 후 철저한 추적관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외과 김선회<사진>, 장진영, 강미주 교수 연구팀은 1995년 이후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 403명을 분석한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암 전구병변은 아직까지 암은 아니지만, 암이 될 확률이 매우 높은 질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위궤양은 위암의, 간경화는 간암의 전구병변이다.

분석 결과, 수술 받은 환자의 10.7%에서 재발했으며, 드물지만 양성 병변도 재발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한국인 암 발생 9위, 암 사망 5위, 5년 생존율 7.8%에 불과할 정도로 예후가 매우 나쁜 췌장암으로 진행되기 전단계인 췌장암의 전구병변에 대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췌장암 치료 성적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는 연구결과여서 주목된다.

연구팀은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은 수술 후에도 재발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전신 상태가 좋은 환자는 보다 적극적으로 조기에 수술적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은 흔히 췌장 물혹 (낭종)으로 발견되는 병변으로 췌장암 전구병변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특징적인 영상 소견 때문에 진단이 비교적 쉽고 수술 후에는 높은 장기 생존율을 보여, 췌장암의 조기 진단과 치료에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장진영 교수는 한국인으로서는 유일하게 2010년부터 췌장암 전구병변 국제 진료지침 위원회의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김선회 교수는 2013년 분지형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 국제진료지침 위원을 맡고 있다. 

이 연구는 외과계 최고 권위 학술지인 Annals of Surgery 에 최근 발표됐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