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명을 일시적으로 회복시키는 화학물질이 개발돼 쥐실험에서 효과가 확인됐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의 리처드 크래머 분자세포생물학교수는 실명으로 '눈이 먼(blind)' 상태인 망막세포에 감광(感光)기능을 일시적으로 회복시켜 볼 수 있게 하는 화학물질(AAQ)을 개발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25일 보도했다.

이 화학물질은 망막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 이온통로(ion channel)와 결합해 빛에 의해 켜지고 빛이 없으면 꺼지는 광스위치(photoswitch)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크래머 박사는 밝혔다.

즉 AAQ가 빛을 받아 스위치가 켜지면 이온통로에서의 이온 흐름이 변하면서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망막의 간상세포 및 원추세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고 그는 설명했다.

그의 연구팀은 쥐실험을 통해 AAQ의 이 같은 기능을 확인했다.

유전자조작으로 태어난 후 망막의 간상세포와 원추세포가 죽어 실명상태가 된 쥐의 눈에 AAQ를 소량 주입한 결과 망막세포의 감광기능이 회복되었다는 것이다.

AAQ가 주입된 쥐들에 밝은 빛을 비추자 동공이 수축되고 빛을 피하려는 몸짓을 보였다. 이는 빛을 볼 수 있지않고는 불가능한 행동이다.

이 연구에 참가한 워싱턴 대학 의과대학 안과관장 러셀 반 겔더 박사는 이 광스위치의 개발은 시력회복 연구 분야에 있어 커다란 진전이라면서 실명에 이르는 유전질환인 색소성망막증과 노인실명의 가장 큰 원인인 노인성 황반변성 같은 망막퇴행질환 치료에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제 AAQ라는 이 화학물질이 안전한지와 쥐실험 결과와 똑 같은 효과가 실명한 사람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작업만 남았다고 그는 덧붙였다.

AAQ는 단순한 화학물질이기 때문에 한 번 주입하면 그 효력이 점점 약해지면서 소멸된다. 따라서 유전자치료 또는 줄기세포 치료처럼 망막에 영구적인 변화를 가져오지 않는다.

또 AAQ는 약이나 다름 없기 때문에 투여단위를 바꿀 수 있고 다른 치료법과 병행할 수도 있다. 또 결과가 좋지 않으면 중단할 수도 있다.

이 연구결과는 '신경원(Neuron)' 최신호(7월26일자)에 발표되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