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포르시안] 현재 사용되는 어떠한 항생제에도 살아남는 '다제내성 임균'이 국내에서 발견돼 주목된다.

임균은 일부 여성에게 자궁내막염과 난관염, 골반감염을 일으키고 불임 같은 심각한 합병증의 원인이 된다.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경원 교수(사진)팀은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과 이혁민 교수와 함께 2011년 부터 2013년 사이에 한국인 남녀 임질환자 210명(남성 136명, 여성 47명)으로부터 배양한 임균의 내성 정도를 조사한 결과, 배양 임균 가운데 19개 균주가 현재 사용되는 치료항균제 중 가장 강력한 '세팔로스포린계열'에 내성 균주로 밝혀졌다고 22일 밝혔다.

세팔로스포린계열 중 세프트리악손에 3%(7개), 세포독심에 8%(17개), 세픽심에 9%(19개)의 내성균주 비율을 보였다.

특히, 내성 균주 19개 가운데 4개는 2011년에 일본에서 보고된 고도 내성 균주와 유전형이 연관되어 있었으며, 임균 치료의 마지막 보루인 세프트리악손에 대한 고도내성 임균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임균에 의한 임질은 우리나라의 경우 연간 3만 5,000여건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생식기질환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많은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성병 중 하나인 임질은 발병 여성의 50% 정도와 일부 남성은 감염 증세를 보이지 않는다.

남성의 경우 배뇨 시 따끔한 느낌이 있는 요도염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배뇨통과 함께 고름과 같은 농액이 요도를 통해 배출된다. 여성은 자궁경부염의 형태로 발전해 농액 분비물이 보이고 배뇨통과 빈뇨 및 긴박뇨 증상이 일어난다.

대부분 성관계를 통해 임균에 전염되기에 불특정 다수와의 성접촉을 피하고 피임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치료를 위해서는 항생제를 반드시 사용해야하지만 내성 임균의 증가로 미국은 2013년에 다제내성 임균을 '긴급한 조치가 필요한 내성균 3종 중 한 가지'로 지정했으며, 일본은 이미 2011년 세프트리악손 내성 임균 발생을 보고했다.

국내에서는 2000년 초반부터 대부분의 임균에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페니실린, 테트라사이클린과 퀴놀론 항생제에 내성을 보여 보다 강력한 세팔로스포린계열 항생제로 치료 받는 환자의 비율이 점차 증가해 2012년에는 전체 환자의 47%에 달했다.

이경원 교수는 "광범위 세팔로스포린에 내성을 가진 임균이 우리나라에도 출현해 확산을 시작하려는 단계에 놓여있다"며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도 중요하지만 세팔로스포린 내성 임균이 확산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관리와 감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성매매금지법으로 인해 특수 직업여성에 대한 국가적 관리가 어려워졌고, 여성 환자의 대부분은 무증상으로 관리가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면 보다 적극적이고 정기적인 국가 차원의 항균제 내성 세균 감시 체계를 만들고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내성균 관련 국제학술지인 '항균화학요법저널'(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 최근호에 발표됐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