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포르시안]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 한덕종 교수팀은 1992년 국내 최초로 췌장 이식 수술을 시행한 이후 최근까지 인슐린 치료를 해도 혈당 조절이 되지 않거나 만성 신부전증 등 심각한 당뇨 합병증이 발생한 271명의 환자에게 췌장 이식 수술을 시행한 결과, 87%에서 당뇨가 완치돼 인슐린 주사를 끊었다고 12일 밝혔다.

이식 후 환자 생존율 분석에서도 95.7%(1년), 91.2%(5년), 89.3%(10년)를 달성해 췌장 이식이 삶의 질과 함께 장기 생존을 보장하는 당뇨병 근본 치료법으로 정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그동안 시행한 271례의 췌장이식 환자를 유형별로 보면,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 자체가 거의 이뤄지지 않는 제1형 당뇨병 환자가 202명으로 가장 많았다. 체질량지수(BMI)는 정상이며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슐린 치료를 받지만 인슐린이 제대로 작용하지 못하는 제2형 당뇨병 환자는 69명이었다.

이식형태별 유형은 췌장 단독으로 이식을 받은 환자가 90명, 당뇨 합병증으로 신부전이 동반되어 신장과 췌장을 동시에 이식 받은 환자가 146명, 먼저 신장이식을 받고 일정시간 경과 후 췌장이식을 받은 환자가 35명으로 각각 파악됐다.

조기 췌장이식을 받지 못해 만성 신부전 등의 합병증 발생으로 신장이 망가져 결국 췌장과 더불어 신장까지 이식해야 했던 환자가 전체 271명 중 66.7%인 181명에 달한 것이다.

한덕종 교수는 "당뇨가 지속될수록 망막질환, 말초혈관질환 등 관련 합병증 발생률이 높아져 결국 환자 생존율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인슐린 치료가 어려운 당뇨 환자가  발생 초기에 췌장이식 수술을 하면 다양한 합병증을 막고 환자 생존율도 크게 높이는 것은 물론 나중에 신장이식을 따로 받아야 하는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이식수술은 거부반응을 예방하기 위해 평생 면역억제제를 복용해야 하는 등 계속적인 관찰과 관리가 필요하다.

한 교수는 "최근 면역억제제의 개선과 약제의 병합요법에 따라 수술 후 환자들이 겪는 문제점이 많이 사라지고 있다"며 "췌장이식 수술은 이식 후 관리가 동반되지만 당뇨의 고통과 인슐린 치료를 겪는 것보다 더 큰 효과를 가진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