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안 브리핑]

▲ 에볼라 바이러스의 숙주로 알려진 과일박쥐

[라포르시안]  최근 새롭게 발생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과 에볼라 같은 감염병의 절반 이상이 동물에서 비롯되었다. 현재 이러한 질병발생의 많은 부분이 야생동물을 감시하는 프로그램이 작동했다면 초기에 발견할 수 있었으며 잠재적으로 예방 가능했다는 새로운 주장이 제기됐다. 

동물에서 인간으로 종을 뛰어 넘는 인수공통감염병은 지난 60년 동안 좀 더 일상적인 것이 되었다. 생물학자들은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훼손하는 사람들을 비판하고 있다. 이러한 훼손과정에서 일어나는 접촉은 질병이 동물에서 인간으로 [뛰어넘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야생동물에 대한 감시는 질병 발생에 대한 예측과 경고를 할 수 있으며 보건당국자들이 인간에게서 질병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한 준비를 하거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미국 워싱턴 DC의 스미소니언 보존생물학연구소(SCB)의 보존생물학자인 이자벨-앤 비손(Isabelle-Anne Bisson)은 새로운 연구를 통해 야생동물의 건강에 대한 정보는 인간에서 질병발생을 예측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연구팀은 야생동물에서 인간으로 전염될 수 있는 150여 가지 병원체에 대한 역사적 기록을 조사했다. 이들은 두 가지 문제를 알아내기 위해서 60년치 과학저널과 신문기사를 조사했다. 첫 번째로 이들 병원체가 시각적으로 야생동물에서 볼 수 있는 증상이나 죽음을 일으키는지 여부, 그리고 두 번째로 인간질병의 발생이 먼저 일어나는지 아니면 동물질병의 증거와 함께 발생하는가를 조사했다.

비손은 “이들 병원체는 인간의 눈에 나타나진 않지만 병에 걸리거나 죽은 동물을 통해서 찾아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거의 150여 가지 병원체 연구 중에서 70가지 병원체는 동물한테서 발작이나 무기력함, 갑작스런 공격성 그리고 죽음과 같은 증상을 일으킨다.

질병의 신호는 쉽게 발견될 수 있다. 실제로 인간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13가지는 야생동물한테서 먼저 발생한 후에 나타났다. 비손 연구팀은 인수공통감염병의 병원체 중 64%의 초기 경고신호를 놓칠 수 있다고 지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하지 않았던 캐나다 야생동물 건강조합(Canadian Wildlife Health Cooperative)의 수의역학자인 크레이그 스테판(Craig Stephen)은 "이 연구는 동물과 인간 사이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추적 연구가 단절돼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자연과 동물의 건강에서 발견되는 신호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버지니아 폴리테크닉 연구소(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와 버지니아 주립대학 블랙스버그(State University in Blacksburg)의 질병생태학자이며 야생동물 수의학자인 캐서린 알렉산더(Kathleen Alexander)는 “야생동물의 건강은 환경변화의 중요한 신호이다. 그리고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위협을 예측하는데 매우 유용하다”고 말했다.

에볼라는 좋은 사례가 된다. 2001년 에볼라 바이러스가 가봉 북동부와 콩고공화국의 북서부에서 발생했을 때 가봉과 콩고공화국 환경부는 몇 개 야생동물조직과 함께 일시적인 '동물사망률 감시네트워크'(Animal Mortality Monitoring Network)를 설립했다.

이 감시네트워크의 목적은 사냥꾼한테서 유인원이나 다른 포유류에 대한 관찰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죽은 동물의 사체에서 감염성 바이러스가 나타났는지 여부를 조사하게 된다. 이 감시 정보는 인간에게서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다가오는 위험에 대한 경고를 알리는데 활용될 수 있다. 만일 빠른 대응책을 시행할 수 있다면 선제적으로 에볼라 확산을 예방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었다.

훈련된 전문가들에 의해 건강한 야생동물과 질병에 걸린 야생동물의 샘플을 수집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감시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연구자들은 비용은 더 적게 들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휴대전화와 같은 이동통신기술을 사용해서 일반인들이 의심스러운 야생동물의 죽음을 보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비손의 연구팀이 분석을 마친 이후에도 H7N9 조류독감 계통과 중동호흡기증후군 등 적어도 두 가지 새로운 인수공통감염병이  나타났다. 비손은 “우리는 정말로 감시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 문제는 점차 심각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원문 바로가기>


[알립니다] 이 기사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운영하는 미래기술정보 포털 미리안(http://mirian.kisti.re.kr)에 게재된 글을 전재한 것입니다. 본지는 KISTI와 미리안 홈페이지 내 GTB(Global Trends Briefing 글로벌동향브리핑) 컨텐츠 이용에 관한 계약을 맺었습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