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포르시안] 폐암 발생을 억제하는 유전체 지킴이 단백질이 발견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6일 이화여대 생명과학과 권종범 교수팀이 DNA의 정확한 복제를 돕는 암억제단백질(BAP1)의 작용기전을 규명하는데 성공, 새로운 항암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BAP1은 최근 폐 표면과 흉부 내면 사이를 구성하는 흉막조직의 중피세포에서 유래하는 폐암인 흉막중피종 등에서 유전자 변이가 발견된 암억제단백질이다. BAP1은 핵에 존재하며, 표적단백질에 붙은 유비퀴틴을 떼어내는 탈유비퀴틴화 효소활성을 갖고 있다.

연구팀은 이번에 암억제단백질로 알려진 BAP1이 크로마틴 조절에 관여함으로써 유전체의 안정성을 돕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연구팀에 따르면 대표적인 코로마틴조절단백질과 직접 결합해 이 단백질의 분해를 막고 복제기점으로 유도하고 복제가 안정적으로 이뤄지도록 돕는다.

실제로 BAP1이 없는 폐암세포주에서는 INO80 단백질이 안정되지 못하고 분해되면서 농도가 크게 낮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인위적으로 BAP1을 넣어준 경우 농도가 다시 회복됐다.

또한 흉막중피종 환자의 종양조직에서 이 두 단백질 모두 농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암발생 억제기능을 확인했다.

권 교수는 "BAP1과 INO80에 의한 암억제기전이 다른 암 종에서도 작용하는 일반적인 경로인지를 조사하고 생쥐를 이용해 본 가설을 구체화하기 위한 후속연구를 수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