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포르시안] 국내 연구진이 뇌손상 후 혈관의 손상과 재생에 따른 즉각적인 뇌수막 회복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규명했다.

서울대 약대 김규원 (사진)교수팀은 최근 이런 내용의 연구 결과를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온라인판에 실었다고 24일 밝혔다.

뇌손상 때 손상 부위 주변으로 뇌수막 세포가 이동, 손상된 뇌수막을 재구축한다는 것은 알려졌지만 자세한 분자생물학적 기전은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뇌손상 후 회복과정에서 기존에 암 억제 단백질로 알려진 'AKAP12'이 뇌수막 세포의 상피간엽이행을 중재함으로써 뇌수막의 재구축 과정을 조절하는 것을 알아냈다.

뇌손상 후 회복 시 추가적인 신경손상을 막는데 중요한 뇌수막의 즉각적인 재구축 과정과 그 기전을 밝힘으로써 환자의 예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치료법 등 관련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뇌손상에 따른 혈관손상으로 저산소 상태에 노출되면 뇌수막 세포에서 AKAP12 생성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TGF-β1'에 의한 상피간엽이행을 억제하지 못해 뇌수막세포가 병변주변으로 이동한다.

연구팀에 따르면 시간이 좀 더 흐르면 저산소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 주변 혈관에서 새로운 혈관이 뻗어 나와 산소를 공급하면서 다시 뇌수막 세포의 AKAP12 생성이 회복된다.

이후 TGF-β1에 의한 상피간엽이행을 억제, 뇌수막 세포의 상피성질이 회복되면서 손상부위 주변으로 새로운 뇌수막 구조가 재구축된다고 설명했다.

김규원 교수는"뇌손상 후 산소를 포함한 다양한 인자들로 이루어진 미세환경에 의한 즉각적인 손상조직의 회복과정을 규명함으로써 뇌조직의 특수한 보호기전을 제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