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성모병원 폐암협진팀이 다학제 협진회의를 하고 있다.

[라포르시안]  최근 암의 다학제 진료가 의료현장의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협진 치료 후 폐암환자의 생존율이 높아졌다는 결과가 공개됐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암병원 폐암센터는 1997년부터 2011년까지 폐암으로 내원한 환자 4,246명의 생존율을 병기별로 조사한 결과, 협진 진료가 시작된 2005~2011년 기간의 5년 상대생존률은 35%로 협진 이전 기간인 2000~2004년의 생존율 17%보다 크게 향상된 것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폐암센터의 2005년부터 2011년까지 5년 관찰생존율을 병기별로 보면 1기 80%, 2기 55%, 3기 22%, 4기 10%로 2000~2004년의 1기 54%, 2기 32%, 3기 9%, 4기 3%에 비해 모든 병기에서 골고루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관찰생존율은 임상연구에서 주로 사용하는 산출률로 관심질병을 가진 환자가 일정기간 동안 살아있을 확률이다.

이 기간 동안~2011년 5년 상대생존율은 1기 87%, 2기 60%, 3기 24%, 4기 11%로, 2000~2004년의 1기 61%, 2기 35%, 3기10%, 4기 4%보다 높았다.

   상대생존율은 환자의 관찰생존율을 같은 연도의 동일한 성(性)과 연령을 가진 일반인구의 기대생존율로 나눈 값이다.

전체 환자 4,246명 중 남자는 68.3%인 2,898명이고, 여자는 31.7%인 1,348명 이었으며, 60대 환자가 1457명(34.31%)으로 가장 많았다.   병원은 폐암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었던 이유로 첨단 진단기법을 이용한 정확한 병기판정, 수술 후 회복시간과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흉강경 수술의 확대, 최신 방사선 치료 적용, 다양한 폐암 신약제 치료 등과 함께 2005년부터 쌓아온 다학제 폐암 협진시스템의 도입이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폐암은 진단 후 5년 내에 85%가 사망하지만 감기, 만성기관지염 등과 증상이 유사해 조기에 알아내기 어렵다. 따라서 조기진단과 함께 폐암진단 후 어떻게 치료할 것인지에 대한 ‘의료진의 판단’이 중요한 요인으로 꼽힌다.       

서울성모병원 폐암센터는 흉부외과, 호흡기내과, 종양내과, 방사선종양학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병리과 소속 20여명의 전문의와 전문간호사가 탄탄한 팀워크를 이루고 있다.

   폐암센터장 강진형 교수는 “폐암을 조기발견 하기 위해서는 다학제 협진을 통한 관련된 여러 전문의 의견 교환이 꼭 필요하며, 환자중심의 협진시스템으로 신속하고 빠른 진료계획을 세우는것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