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헬스산업협회, 보험업계와 관련 간담회 가져..."새로운 유형 데이터가 헬스케어 디지털 혁신 원천"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는 지난 20일 손해보험협회, 생명보험협회와 공동으로 ‘제2차 보험산업 디지털헬스케어 활성화 간담회’를 개최했다.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는 지난 20일 손해보험협회, 생명보험협회와 공동으로 ‘제2차 보험산업 디지털헬스케어 활성화 간담회’를 개최했다.

[라포르시안] 보험업계와 디지털헬스업계가 인슈어테크를 통해 시너지를 내려면 보험업계는 데이터와 소프트웨어 관련 역량을 강화하고, 디지털헬스업계는 건강관리서비스의 제도화에 대비한 자율인증제도 수립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최근 들어 보험업계가 고객관리를 위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을 넘어 디지털 전환과 건강증진형 상품 개발 등을 통한 인슈어테크 활성화를 위해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술을 보유한 디지털헬스업계와 파트너십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해부터 정부가 개인의 주도 아래 스스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활용하는 마이데이터 사업을 의료와 금융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추진하면서 디지털헬스와 인슈어테크 간 융합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보건복지부는 최근 발표한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 및 사례집’을 통해 비의료기관이 의료행위가 아닌 건강정보의 확인 및 점검, 비의료적 상담·조언과 같은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했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개인의 객관적 건강정보의 확인 및 점검 등은 의료행위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비의료기관에서 제공할 수 있다. 건강검진 결과 확인 및 개인 동의에 기반을 둔 자료수집행위나 개인용 건강관리 기기를 활용해 체성분 등 건강정보·지표를 자가 측정하거나 모니터링하는 행위도 가능하다.

민간기업이 공신력 있는 기관의 객관적 정보 제공과 분석, 일반적인 건강목표 설정과 관리, 운동·영양·수면 등 일상적 건강증진활동에 대한 상담·교육과 조언을 제공하는 서비스도 가능하다.

금융위원회도 지난 2017년에 마련한 '건강증진형 보험상품 개발 및 판매 가이드라인' 을 통해 보험상품 가입자의 건강관리 실천 여부에 따라 보험료 할인 혜택을 연계하는 '건강증진형 보험상품' 개발 기반을 마련했다. 금융위는 건강증진형 상품 개발이나 판매에 대한 기준이 모호해 상품 활성화가 힘들다는 업계의 지적을 반영해 가이드라인 개정 작업을 주비 중이다.

이런 가운데 보험업계와 디지털헬스업계가 인슈어테크를 통해 시너지를 내려면 보험업계는 데이터와 소프트웨어 관련 역량을 강화하고, 디지털헬스업계는 건강관리서비스의 제도화에 대비한 자율인증제도 수립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는 지난 20일 손해보험협회, 생명보험협회와 공동으로 ‘제2차 보험산업 디지털헬스케어 활성화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서 인공지능 기업인 아크릴은 인공지능 플랫폼 ‘조나단’을 통해 보험업계의 텔레마케팅 상담, 민원 예측, 언더라이팅 심사 자동화를 위한 솔루션을 선보였다.

디지털헬스 전문기업인 라이프시맨틱스는 질병 예측 알고리즘을 탑재한 개인건강데이터 플랫폼 ‘라이프레코드’를 통해 스마트 보장분석과 마이데이터 기반 디지털 대용진단 등의 인슈어테크 솔루션을 제시했다.

간담회에서 이영주 한국정보화진흥원 의료복지팀장은 “보험사들이 헬스케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보험상품과 서비스 개발에 나서기 위해서는 데이터와 소프트웨어에 투자하고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활용한 자가 건강관리가 확산되면서 생활습관이 반영된 건강데이터인 라이프로그는 기하급수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IBM에 따르면 개인이 평생 만들어내는 건강데이터는 1,100TB에 달하며, 이 중 60%를 라이프로그가 차지한다.

이영주 팀장은 “라이프로그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데이터가 헬스케어의 디지털 혁신 원천”이라며 “데이터 역량을 바탕으로 미충족 수요를 발굴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최신 디지털헬스 기술과 접목함으로써 차별화된 콘텐츠와 사업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보건의료 분야의 전문가들은 인슈어테크 관련 건강관리서비스의 제도화에 대비한 자율인증제 수립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간담회에서 편웅범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의료산업기술사업단 교수는 “수익성이 높아져 기업들이 우후죽순 생기면 부작용이 나타나고, 가격경쟁으로 치달으면 고품질 서비스의 생존이 위협받아 고객의 외면으로 시장 자체가 공멸할 수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건강관리서비스가 제도화될 때 민간에서 자율인증제도를 갖추고 있으면 정부가 민간조직을 활용해 허가심사제로 자연스럽게 전환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