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인석(중앙대병원 교육수련부장, 대한의학회 임상의학이사, 대한병원협회 병원신임평가위원)

전공의 수련제도 개편이 의료계의 주요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전공의들의 빡빡한 근무일정과 저임금, 부실한 수련교육 시스템 등의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수련과정에 어떤 문제가 있고 어떤 식으로 보완해야 하는지 진지한 고민은 부족하다. 특히 최근에는 인턴제 폐지에 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지만 그 이후의 전공의 교육과정 개편안이 정해지지 않아 폐지 시점을 놓고 고민만 깊다.   이런 가운데 지난 14일 대전에서는 한국의학교육평가원 주최로 ‘전공의 교육 심포지엄 및 졸업후교육발전위원회 집중워크숍’이 열렸다. 이날 워크숍에서 중앙대의대 임인석 교수는 ‘전공의 교육 현황 및 문제점 고찰’이란 제목의 발표를 통해 전공의 수련제도 개선 방향과 인턴제 폐지의 부작용에 대비할 수 있는 교육방법을 제안했다. 특히 전공의는 피교육자 신분이지만 곧 전공의를 교육시키는 주체가 된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임 교수에게 전공의 수련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대해 들어봤다.

- 전공의 수련평가 체계 중 가장 시급히 개선돼야 할  사안은 무엇인가.“전공의 수련평가가 체계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레지던트 연차가 자동 승급되는 관행을 PASS/FAIL과 같은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 지금처럼 자동으로 승급되는 방식으로는 각 연차별 교육 목표에 따라 얼마나 성취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의 의미가 없다. 그러다보니 전공의 개개인에게 효과적인 피드백을 할 수가 없다. 중앙대병원은 올 하반기부터 P/F 방식의 평가를 시범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연차별 교육 목표에 부합하는 성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적절한 평가지표도 만들 예정이다. 이런 평가를 통해 수련교육의 질을 높여 정상화 시킬 수 있다고본다. 현재 빡빡한 전공의 근무환경이 문제 되고 있는 와중에 유급제도 방식을 도입하면 전공의들이 더 힘들어 질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이는 지도 전문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을 병행해 해결할 것이다. 단순히 승급을 까다롭게 하는 제도가 아니라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 인턴제 폐지가 논의되고 있다. 전공의 수련과정 개선도 이를 고려해 바뀌어야 할 것 같은데.

“인턴제가 폐지되면 어떤 과가 적성에 맞는지 탐색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든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졸업 후 개원의를 하려는 학생, 전문의로 가려는 학생을 위한 과정이 별도로 필요하다. 대신 전공의들이 중간에 적성, 진로 등의 문제로 계획을 변경하는 경우에 대비해 두 과정을 서로 교차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전문의 수련과정은 3년, 일반의 과정은 2년으로 하고, 전문의 과정을 거치면 일반의 과정은 자동으로 수료되게끔 해야 한다. 일반의 과정을 마쳐도 전문의 쪽에 뜻이 생기면 필요한 부분을 1~2년 정도 더 수료하면 전문의 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인턴제 폐지 목표는 인턴 중 수련과 거리가 먼 잡무를 하는 시간을 줄여 불필요한 수련을 하지 않도록 하자는 것이다. 보건복지부의 의뢰를 받아 대한의학회에서 이러한 투트랙(Two- Track) 방식의 수련교육 시스템을 연구했고, 이미 복지부에 제안한 상태이다. 실제로 실행될지는 지겨봐야 할 것 같다.”- 전공의 수련교육이 그 취지에 부합하지 못하는 것은 어떤 이유 때문인가."지금까지 각 학회의 수련병원 실태조사와 병원신임평가위원회 심사, 보건복지부의 최종 승인과 같은 수련과정 관리 감독이 형식적으로 이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런 관행이 반복되다 보니 문제가 있는 수련병원도 별다른 제재 없이 레지던트 정원을 할당받고 있다. 지금 드러나는 표면적인 문제의 원인이 여기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형식적 평가를 하면 전공의 교육의 문제점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고 그만큼 개선방안을 찾기 힘들어진다." - 전공의 수련 과정 중 임상능력 외에 갖춰야 할 역량은 무엇인가.“환자를 진료하다 보면 법적인 문제로 비화되는 경우도 생긴다. 이는 환자와 커뮤니케이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의사와 환자, 의사와 의사, 의사와 간호사 간 의사소통이 잘되고 손발이 잘 맞아야 의료계가 잘 돌아간다. 그런데 전공의들은 전문적 지식과 임상능력을 키우는데 집중하다 보니 의료커뮤니케이션, 의료윤리,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해 체계적으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다. 전문의 필기시험에도 이에 관련한 문제는 거의 없다. 이 같은 항목에 대한 이론교육을 임상교육과 병행해 적정 시간을 수료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할 것이다. 특히 이 같은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뤄지려면 전공의들이 자기통제, 스트레스 관리 등을 잘 할 수 있어야한다. 그래서 의학교육평가원 내 ‘졸업후교육발전위원회’ 차원에서 전공의들의 자기관리 교육을 준비 중이다. 의사 국가고시에도 의료윤리를 넣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전공의가 나중에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잘 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야 전공의 수련과정 중 타인과 사이가 좋지 않거나, 자기 감정을 통제하지 못해 발생하는 나쁜 관행이 답습되는 걸 예방할 수 있지 않겠나.”

- 전공의 교육기간이 필요이상으로 길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막상 인턴제를 폐지한다고 하니 반대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인턴제 폐지를 대비할 수 있는 전공의 수련과정 개편 준비과정이 늦어진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의대생들도 인턴제 폐지로 인해 현장에서 진로 탐색의 기회를 놓칠까봐 불안해 한다. 교육주체가 없고 한 두달 안에 습득 할 수 있는 내용을 병원내 잡무 처리 때문에 1년이나 소요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돼 왔지만 폐지에 대한 당위성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했다. 제도의 큰 틀을 1년 안으로 만들어야 한다. 의과대학 과정 중에 서브인턴제를 도입해 미리 각 진료과에 대한 기본적인 실무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인턴 폐지의 완충 장치가 될 수 있도록 구체적 방법에 대해 대한의학회 등을 중심으로 논의 중이다.무엇보다 공적 지원을 끌어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인턴제 폐지에 따른 당장의 의료인력 공백을 채워야 하기 때문이다. 지금은 (전공의 수련과정에 있어서)국가적 차원의 재정지원이 거의 전무하다. PA를 대신 할 수 있는 지원인력을 대체하려면 국가적 지원이 필수다. 전공의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의료는 공공재 아닌가.”

- 전공의를 교육하는 수련병원의 지도전문의 역량 강화도 필요할 것 같다. 

“그동안 전공의 차원에서 어떻게 수련과정을 밟아야 하는지에만 관심이 쏠렸다. 하지만 수련병원의 지도전문의 역량을 키우는 것도 중요한 사안이다. 앞서 병원협회는 지난달 병원신임위원회 회의를 열고 지도전문의 자격 강화 및 지도전문의 교육 도입을 골자로 하는 지도전문의 관련 방침을 개정해 오는 2014년도 정원 책정부터 적용키로 의견을 모았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는 공통교육을 수료해야만 지도전문의가 될 수 있는 제도가 도입된다. 각 과에 꼭 필요한 내용을 수료해야 지도 전문의 자격이 주어지고 그 수에 따라 전공의 정원이 할당된다. 지금 구체적인 사안을 준비 중이다. 기존의 지도전문의도 오는 2015년까지 교육을 받아야 자격이 주어지도록 바뀐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