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 빅데이터 분석 결과…소득별 산모 비중, 고소득-저소득층 2.3배 격차로 벌어져

[라포르시안]  저출산에 따른 '인구절벽' 상황에 직면할 것이란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출산에 있어서도 '빈익빈 부익부'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빅데이터 상으로 최근 10년간 고소득층 산모 비중은 증가한 반면 저소득층 산모는 감소하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과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회장 이태진 교수)는 21일 오후 2시부터 서울대 보건대학원에서 ‘저출산 극복을 위한 건강보험 빅데이터 활용방안’이라는 주제로 발표와 토론을 했다.

이날 서울대 보건대학원 이상용 교수는 ‘우리나라 저출산 현황과 원인’을 주제로 발표한 자료에 1998년 이후에는 그 이전과 달리 남편과 부인 모두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출생아 수가 증가하고 있어 외환위기 이후 사회경제적(교육수준)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가장 민감하게 출산감소 추세를 보였다.

실제로 공단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6년부터 2015년 현재까지 지난 10년간의 임신 및 분만 경향을 분석한 자료를 보면 소득 수준에 따른 산모의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자료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공단 발표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분만 평균연령은 2006년 30.3세에서 2015년 32.2세로 1.9세 증가했다. 이중 35세 이상 분만비중은 13.7%(2006년)에서 27.6%(2015년)로, 40세 이상 분만비중은 1.2%에서 3.0%로 증가했다.

분만건수는 2006년 43만1,559명에서 2015년 42만8,319명으로 0.8% 감소했으나 실질적인 가임여성인 24~38세 사이 건강보장 여성 수가 지난 10년 동안 625만4,000명에서 531만9,000명으로 15.0% 감소해 2010년 인구구조로 표준화한 분만율은 2006년 4.05%에서 2015년 4.54%로 12.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산모의 소득수준은 2006년에는 3분위(26.2%)를 중심으로 중간층에 골고루 분포한 것이 비해 2015년에는 4분위(33.8%) 이상의 고소득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었다.

소득 1~2분위에 속하는 저소득층 산모의 비중이 2006년에는 각각 14.4%와 19.3%에서 2015년에는 9.4%, 13.0%로 감소했다.

반면 4~5분위에 속하는 고소득층 산모의 비중은 2006년 각각 25.9%, 13.3%에서 2015년 33.8%, 17.2%로 늘었다.

2006년에는 1~2분위 소득의 산모 비중이 33.7%였고 4~5분위 산모가 39.2%로 크게 차이가 없었지만 2015년에는 1~2분위 소득 산모(22.4%)에 비해 4~5분위 고소득층에 속하는 산모(51%)의 비중이 약 2.3배나 더 많았다.

임신한 직장 여성이 분만까지 직장을 유지하는 비율은 2006년 67.3%에서 2014년에는 73.9%로 9.9% 증가했고, 출산 1년 후까지 직장을 유지하는 비율은 62.9%에서 2014년 69.7%로 10.8% 증가했다. 

공단은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난 10년간의 출생 및 분만 변동뿐만 아니라 가임여성 인구구조의 변동을 고려할 수 있는 모니터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