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59명에 사후관리 서비스로 234명 사망 예방 추정…사업 단계적으로 확대

[라포르시안] #. 경기도 일산의 20대 남성 A씨는 희귀병으로 시력을 점점 잃어가던 중 자해를 해 응급실에 실려왔다.

응급실에서 A씨를 만난 사례관리사 정영주씨는 A씨의 좌절감과 혼란을 해결하도록 돕는 한편, 점자교육과 보행훈련 등 현실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역사회 복지자원과 연계해 그가 새로운 삶을 찾도록 지원했다.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서비스가 자살시도자의 사망률을 크게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013년 7월부터 시작한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성과를 분석 발표했다.

이 사업은 병원에 배치된 상담인력(병원당 2명)이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서비스에 동의한 환자를 계속 상담하고, 퇴원 이후까지 지역사회의 복지-의료서비스와 연계해 주는 사업으로 전국 27개 병원에서 시행 중이다.

복지부에 따르면 2013년 8월부터 2015년 말까지 해당 응급실에 총 1만 3,643명의 자살시도자가 내원했고, 서비스에 동의한 6,159명(47%)에게 사후관리 서비스를 제공했다.

그 결과, 이 서비스 수혜자의 사망률은 서비스를 받지 않은 사람의 절반 이하 수준이었다.

지난해 말까지 해당 응급실 방문 자살시도자 가운데 약 10%가 사망했는데, 서비스 비수혜자의 사망률은 14.4%인 반면 서비스 수혜자의 사망률은 5.9%로 나타났다.

전체 사망자 중 손목자상, 약물·가스중독, 질식 등 자살로 추정되는 사망자의 비율은 5.7%였다. 

이 중 비수혜자의 자살 추정 사망률은 7.5%인데 비해 서비스 수혜자의 사망률은 3.7%였다.

확인된 사망률로 해당 응급실 전체 내원자의 사망규모를 추정하면 서비스 비수혜자 1,006명, 서비스 수혜자 363명으로 분석됐다.

자살로 추정되는 사망은 서비스 비수혜자 517명, 서비스 수혜자 228명이었다.

즉, 서비스 제공을 통해 총 사망자 기준으로는 약 536명, 자살추정 사망자 기준으로는 약 234명의 생명을 살린 셈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실태조사 및 심리부검 결과를 보면 자살시도자의 자살위험은 일반인보다 25배나 높다"면서 "응급실을 기반으로 자살시도자에 대한 사후관리 성과가 확인된 만큼 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자살재시도 위험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