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경피용 백신으로 임시예방접종…“수급 지연 대비책 제대로 마련 못해” 지적

[라포르시안] 민간의료기관에서 잠복결핵감염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PPD(Purified Protein Derivative) 시약 부족 사태에 이어 결핵 피내용 백신<사진> 수입마저 수개월째 지연되고 있어 국가 결핵관리사업의 차질이 우려된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양병국)는 결핵 피내용 백신 수입이 계속 지연됨에 따라 백신 수급이 정상화될 때까지 한시적으로 보건소를 통해 ‘경피용 백신’으로 임시예방접종을 시행하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 중인 결핵 예방 백신은 피내용(주사형), 경피용(도장형) 두 종류가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 권고에 따라 우리나라는 피내접종을 국가예방접종으로 권장하고 있다.

국가예방접종사업 대상인 BCG 피내용 백신 전량을 덴마크 SSI사로부터 수입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SSI가 백신 출하 계획을 수차례 지연시키면서 백신 수급에 애를 먹고 있다.

당초 SSI사로부터 올 3월에 BCG 피내용 백신을 공급받을 예정이었지만 벌써 7개월 가까지 지연되고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올해 국정감사에서 새누리당 장정은 의원은 "올해 초부터 SSI사 내부사정으로 수급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는 부분에 대해 예견해서 대비책을 마련할 수 있었던 상황임에도 대책을 세우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피내용 백신 수입이 지연되면서 질병관리본부는 피내용 백신 국내공급이 재개될 때까지 경피용 백신을 결핵 임시예방접종 백신으로 제공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입장이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BCG 피내용 백신의 수급지연으로 국가예방접종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하고 영유아 보호자분들에게 불편을 드린 점 깊이 사과 드린다"며 "덴마크 제조사에 조속한 공급을 촉구하고, 관계부처와 협의해 백신수입을 다각화 하는 등 빠른 시일 안에 피내용 백신 공급을 재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BCG 피내용 백신과 함께 민간의료기관에서 잠복결핵감염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PPD 시약도 부족한 상황이다.

잠복결핵감염 여부 확인을 위해 피부반응검사(투베르쿨린 검사)를 시행할 때 결핵균의 배양액으로부터 정제한 PPD라는 물질을 피부에 주사해 면역반응이 일어나는지를 확인한다.

질병관리본부는 올해 초 올해초 민간과 공공보건기관에 15만명분의 PPD 시약을 공급했다. 그러나 PPD 시약 역시 SSI사로부터 공급받고 있는데 이것 역시 수입이 지연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민간에서 PPD시약이 부족하게 된 것은 보건소에서 결핵 역학조사가 전년대비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사업량 증가로 PPD시약의 수요가 늘었고, 제조사 사정으로 인해 공급이 지연되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1일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PPD 시약 40만명 분량을 수입해 수급문제를 해소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 약속도 SSI사 사정으로 지키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최근 PPD 시약 공급을 위해 질병관리본부 담당자가 SSI사를 방문했다"며 "PPD 시약이 이달 중에 국내에 수입되더라도 식품약품안전처의 검정 절차 등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11월 중순 이후에나 공급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결핵환자가 최근 수년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면서 OECD 회원 국가와 비교할 때 결핵 발생률과 유병률, 사망률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WHO가 작년 10월 발간한 ‘2014 세계결핵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결핵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97명에 유병률은 143명, 사망률은 5.2명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OECD 회원국의 결핵 발생률은 10만명당 평균 12.7명에 불과했다. 우니라나는 여전히 OECD  회원국 중에서 결핵 발생률 1위를 기록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