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국민들은 의료계가 다른 사회기관이나 전문가 집단에 비해 더 신뢰할 수 있으며, 공정성도 비교적 높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는 전국(제주도 제외) 16세~69세 남녀 1,512명을 대상으로 ‘한국의 사회문화 및 종교에 관한 대국민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자의 종교별 분포는 가톨릭 11.4%, 개신교 18.1%, 불교 23.9%, 원불교 0.3%, 기타 1.1%, 종교없음 45.2%였다.

‘한국사회 전반 및 주요 사회기관의 신뢰도’를 묻는 질문에서 한국사회에 대한 신뢰도는 5점 만점에 2.89로 다소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 한국사회 전반 및 주요 사회기관의 신뢰도

분야별로는 의료계(3.22), 시민사회(3.22), 학계(3.16), 대기업(3.12), 교육계(3.01), 종교계(3.00) 등의 순으로 신뢰도가 높았다.

반면 국회/정당(2.17), 정부/지자체(2.48), 언론계(2.86), 금융계(2.88) 등의 신뢰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시민사회와 한국사회에 대한 신뢰도는 평균값을 기준으로 할 때, 가톨릭과 개신교의 신뢰도는 높은 편이지만, 불교와 종교없음의 신뢰도는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사회의 공정성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가 다소 낮게 인식(2.80)하고 있었다.

▲ 한국사회 전반 및 주요 사회기관의 공정성

분야별로는 종교계(2.97), 교육계(2.92), 의료계(3.08), 학계(3.04), 시민사회(3.14)의 공정성이 높다고 인식하는데 비해 대기업(2.79), 언론계(2.79), 정부/지자체(2.44), 국회/정당(2.23), 법조계(2.77) 등은 상대적으로 공정성이 낮은 것으로 인식했다.

종교를 가진 응답자들이 종교가 없는 응답자에 비해 시민사회 및 한국사회의 공정성에 대해 높게 평가했고 개신교는 한국사회와 시민사회에 대한 공정성에 대해서 모두 가장 높은 평가를 내렸다.

한편 뇌사 인정. 인공 유산, 장기기증 등 한국사회의 주요 쟁점사안에 대해서도 각 종교별로 조금씩 다른 시각차를 보였다.

먼저 한국사회의 주요 쟁점 중 ‘뇌사 인정에 대한 인식’을 묻는 조사에서는 전체 응답자 중 ‘적극 찬성’이 4.2%, ‘찬성하는 편이다’가 47.6%로 비교적 찬성 의견이 많았다.

종교별로 살펴보면 가톨릭(적극 반대: 5.2%, 반대하는 편이다: 13.4%)과 개신교(적극 반대: 2.9%, 반대하는 편이다: 18.2%)는 뇌사 인정에 대해 반대하는 의견이 많아, 찬성의견이 많은 불교(적극 반대: 1.1%, 반대하는 편이다: 15.8%)와 종교없음(적극 반대: 1.5%, 반대하는 편이다: 11.8%)과 대조를 이뤘다.

‘의학적 판단에 의하지 않은 인공유산에 대한 인식’에서는 전체 응답자에서 반대의견이 많았다.

특히 인공유산에 대해서는 종교를 가진 응답자들이 종교를 갖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반대의견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고, 반대의견의 강도는 ‘개신교-가톨릭-불교’의 순으로 높았다.

장기기증의 필요성과 관련해 전체 응답자의 82.8%가 필요하다고 답한 반면, 장기기증을 실천할 의사를 가진 응답자는 57.6%(‘필요성은 못 느끼지만 기증할 수는 있다’ 11.9% 포함)에 불과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