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간 근무하는 생산직 근로자일수록 비만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장태원 교수팀은 2007년~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해 25세~64세 연령 중 임산부, 시간제 근로자, 군인, 학생, 주부를 제외한 총 8,889명(남성 5,241명과 여성 3,648명)을 선정해 비만과 근로시간관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대상자를 생산직과 사무직으로 구분했다.

생산직은 서비스 및 판매종사자, 농림어업숙련 종사자, 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단순노무 종사자(건설과 광산기술자)였고, 사무직은 관리자, 정부 공무원, 전문가, 사무종사자였다.

이들의 근로시간과 비만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1주 근로시간을 40시간미만, 40~48시간, 49~60시간, 60시간 초과로 구분하고 비만(체질량지수 25kg/m2 이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남성 생산직의 경우 1주 40~48시간 일하는 근로자보다, 1주 60시간을 초과한 근로자의 비만이 발생할 비차비(odds ratio, OR)가 1.647로, 비만해질 위험이 1.647배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한국 근로자의 노동시간은 OECD 국가 중 긴 수준인데, 이러한 장시간 근로는 운동 부족, 불규칙한 식습관, 수면 부족 등을 야기해 비만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연구팀은 이처럼 한국사회에 문제가 되고 있는 비만으로 야기된 근로자들의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이번 연구를 기획했다. 

이 연구를 담당한 장태원 교수는 “생산직 근로자가 장시간의 육체노동을 하면 우리 몸의 시상하부-부신피질축의 이상으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cortisol)의 혈중농도가 높아지고 식욕이 증가해 지방이 축적돼 비만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다만 사무직 근로자의 장시간 근로는 시상하부-부신피질축의 이상을 초래할 정도로 육체적 피로를 유발하지는 않는다”며 “여성의 경우 장시간 근로보다 신진대사, 월경, 출산, 폐경 등에 의한 호르몬 변화에 영향을 더 크게 받기 때문에 근로 시간과 비만의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직업환경의학분야 국제학술지인 ‘직업건강저널(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2013년 7월호에도 게재됐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