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유행 전보다 응급실 임종 2배 늘어..."코로나 병상에 밀려"
혈액·영상검사 등 불필요한 의료행위 증가
가족간 인간적 상처 남기는 '트라우마성 사별' 경험

[라포르시안]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재난은 특정 지역이나 집단에만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다. 사회 모든 영역에 걸쳐 감염병 유행과 그로 인한 충격파가 퍼진다. 그중에서도 특히 더 큰 영향을 받고 회복이 어려운 우리 사회의 가장 약한 고리는 어디일까. 

말기 암환자 그 가족이 코로나19 유행 상황에서 툭 끊어지기 쉬운 '약한 고리'의 한 부분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김범석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19일 오후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코로나19 유행에서 관찰된 우리사회의 약한 고리-사회심리적 영향'을 주제로 개최하는 심포지엄에서 코로나19 상황에서 말기 암환자와 가족이 겪는 말기 돌봄 문제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김 교수는 서울대병원에서 2019년과 2020년 사이 사망한 암환자 1,456명(2019년 752명, 2020년 704명)의 의료이용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암 환자 임종장소로 적합하지 않은 응급실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사례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응급실에서 사망한 암환자는 53명에서 2020년에는 99명으로 2배가량 유의하게 증가했다. 

사망 전까지 응급실에서 체류하는 시간도 유의하게 늘었다. 호스피스 병상이 코로나19 전용 병상으로 전환되며 임종 증상에 이르러 준비되지 않은 채 다급하게 응급실을 찾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김 교수는 분석했다. 

이미지 제공: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이미지 제공: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임종 전 섬망과 같은 증상관리가 충분히 되지 않는 경향도 보였다. 

임종 3일 전 섬망 증상을 경험한 환자가 2019년 10.9%에서 2020년에는 17.19%로 늘었다. 승압제 사용 환자가 52.3%에서 59.2%로 모두 유의하게 증가했다. 

호스피스 의뢰가 늘었음에도 심폐소생술은 12.5%에서 16.3%로 증가했다. 혈액검사, 영상검사, 모니터링 등도 각각 81.1%에서 98.0%, 60.4%에서 75.8%, 86.8%에서 99.0%로 각각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2020년에는 대다수 말기암환자에게 이런 검사가 시행됐다. 

이런 현상은 코로나19 전에 비해 코로나19 유행 시기에 임종 전 증상관리가 잘 되지 않고 불필요한 의료행위가 다소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장 큰 문제는 감염병 재난 상황에서 가족간 인간적 상처를 남기는 사별이 늘고 있다는 점이다. 

2021년 9-10월 간 말기암환자 50명과 보호자(가족) 36명을 대상으로 심리사회적 문제를 조사한 결과, 병원에 입원한 경우에도 환자는 면회제한으로 버림받았다는 느낌과 고립감을 느끼며 불안감이 섬망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가족들 역시 환자 임종기를 함께 하지 못한데서 심리적 고통을 겪었다. 가족 1인이 ‘독박 간병’을 하면서 고립되고 육체적, 심리적으로 소진됐다. 가족 간에 인간적 상처를 남기는 ‘트라우마성 사별(traumatic death)’ 경험은 유가족의 사별 후 애도장애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김범석 교수는 "우리 사회의 ‘약한 고리’인 말기환자 돌봄 문제, 돌봄의 연속성 고려한 체계 마련이 절실하다"며 "생애말기 환자의 존엄성은 방역과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위기 상황에서도 말기 환자의 돌봄은 반드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재가 환자가 적절한 관리와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재택의료를 통한 미충족 욕구의 해소, 가족의 독박간병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사회적, 제도적 지원, 말기 환자에게 양질의 생애말기 돌봄을 제공할 수 있는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더 많은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돌봄의 연속성을 고려한 체계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