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11월 집단면역'에 우울한 전망 제시
변이 바이러스·돌파감염 등 다양한 위험요인
"바이러스 근절서 피해 최소화로 전환...사회 필수기능 등 일상 유지"

[라포르시안] 코로나19 팬더믹이 1년을 훨씬 넘겼다. 당분간 유행 종식에 대한 기대감은 멀어진 가운데 정부의 방역 목표는 백신 접종으로 '11월 집단면역' 형성과 일상 회복에 초점이 맞춰졌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백신 접종으로 코로나19 유행 종식이 불가능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독감 바이러스처럼 토착화해 매년 정기적인 예방 접종을 하는 방식으로 인류와 공존할 수밖에 없다는 우울한 전망이다. 

만일 그럴 수밖에 없다면 정부 방역 목표도 수정이 불가피해 보인다. 지금은 '11월 국민 70% 접종 완료'와 '집단면역 형성'이란 목표에 집중해 모든 정책 추진 시간표(timetable)을 짰다. 대부분 사람들은 정부 목표대로 11월쯤 접종률 70%를 달성해 집단면역을 형성하면 마스크를 벗고 코로나 이전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으리란 기대를 하고 있다. <관련 기사: 집단면역과 재유행 사이...정은경 청장 "지금은 희망과 위기 교차하는 시기">

과학적으로 그게 불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 의견이다.

오명돈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서울대 감염내과 교수)은 지난 3일 중구 코로나19(COVID-19) 중앙 예방접종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인구의 70%가 백신 접종을 완료하면 집단면역에 도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며 "타인에 전파하는 2차 감염을 예방하는 95% 이상 백신도 아직 없다"고 지적했다.

오 위원장에 따르면 95%로 알려진 화이자 백신 효과는 발병을 예방하는 효과이지 전파를 예방하는 효과가 아니다. 즉 백신 접종을 했을 때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키는 중화항체가 생성돼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지만 바이러스 전파 자체를 차단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의미다.

결국 독감처럼 백신을 주기적으로 재접종하면서 극복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접종률 70%를 달성하더라도 집단면역 형성으로 바이러스 종식이 불가능한 또다른 이유는 전파력이나 독성이 높은 변이 바이러스 등장과 백신 접종으로 항체가 생성된 뒤에도 감염이 되는 '돌파감염(breakthrough infection)'까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국내 감염의 경우 5% 수준에서 변이가 검출되고 있으며, 해외입국자에서 변이검출율이 50%를 웃돌고 있다. 특히 국내 일부 지역사회에서는 전파력이 1.7배 센 것으로 알려진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 감염 사례도 잇따르는 추세다.

이미지 출처" 미국 CDC 홈페이지
이미지 출처" 미국 CDC 홈페이지

미국에서는 돌파감염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발표 자료에 따르면 4월 26일 기준으로 미국에서 2차까지 백신 접종을 완료한 9500만명 가운데 9245명한테서 돌파감염 사례가 보고됐다.

백신 접종 불평등도 코로나19 팬더믹 상황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지난달 26일자로 전 세계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10억 회분을 돌파했지만 백신 접종의 상당수는 주요 선진국에 집중되고 있다. <관련 기사: "코로나19 백신은 인류 공공재...특허권 풀어 생명 구해야">

국제 통계누리집인 '아워 월드 인 데이터'에 따르면 전 세계 백신 접종분의 29%가 미국에서 이뤄졌다. 또 13%는 유럽연합(EU), 5%는 영국에서 이뤄졌다. 이들 3개 국가·지역에서 실시한 백신 접종이 차지하는 비중이 47%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백신 불평등 문제는 가난한 국가의 공중보건 문제로 그치지 않고 변이 바이러스 발생 등으로 새로운 팬더믹 위기를 발생시킬 것이라고 경고한다.

오명돈 위원장은 "이론에 비춰볼때 집단면역에 도달한다고 해도 코로나10 바이러스는 근절되지 않을 것이며, 집단면역을 달성한다고 해도 면역기간이 지나면 유행은 반복된다"며 "국가 백신접종 전략은 바이러스 근절에서 피해 최소화로, 중증화 위험도가 높은 고령층과 고위험군을 보호하는 데 집중하는 방식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독감 유행 시기가 되면 전국민 대상으로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감시체계를 가동하는 것처럼 코로나19 유행도 같은 전철을 밟게 될 것이란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집단면역 형성을 통한 코로나19 유행 종식이 불가능하고, 유행으로부터 건강 피해를 최소화하는 쪽으로 방역 목표를 수정해야 한다는 쪽에 의견을 모으고 있다. 

지난 1월 29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한국과총-의학한림원-과학기술한림원 제21차 공동포럼에서 고려대의대 감염내과 최원석 교수는 "2021년의 코로나19 방역에서 현실적 목표는 고위험군에서 질병 부담을 낮추는 것이 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사회 필수 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무엇보다 의료 체계가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일정 방역 조치와 예방접종을 통해 유행의 규모를 작아지게는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결국 코로나의 장기화가 기정사실이 된 이상 일상에서 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키며 사회.경제활동을 유지하는 것이 앞으로 우리가 직면할게 될 코로나19 이후 뉴노멀 시대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여기에 맞춰 정부 방역도 백신 접종과 함께 포스트 코로나를 위한 의료체계와 방역 수칙으로 재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