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등 특허출원 늘어…"생체적합성 고분자 소재 연구 활발"

치과용 임플란트는 물론 두개골 임플란트 등으로 3D 프린터 활용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 의료 분야의 3D 기술개발이 적극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특허청(청장 김영민)에 따르면 3D 프린트 기술에 관한 국내 특허는 1999년 처음으로 출원돼 현재까지 모두 22건이 출원 공개됐다.  

22건의 국내 특허출원 가운데 15건(68%)은 미국(7건), 일본(6건) 등 외국인출원이고 내국인이 출원한 것은 7건(32%)에 불과했다.

전체적인 3D 특허 출원 건수도 미국(93건), 일본(53건), 유럽(39건) 등에 비하면 아직 저조한 수준이다.

출원동향을 살펴보면 2010년까지는 3D 프린트 자체 기술에 관한 출원이 주를 이루다가 3D 출력물의 물성을 좌우하는 잉크용 소재, 특히 생체적합성 고분자 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2011년부터 의학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기술 출원이 이뤄지고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2011년에 출원된 3D 프린트 기술은 두개골 임플란트, 약물전달체, 치아용 임플란트 제조에 관한 것으로, 모두 내국인에 의한 출원이라는 점이다.

3D 프린트 기술의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도 2013년 비로소 3D 프린터로 출력한 인체용 임플란트를 내놓고 있는 점으로 볼 때 국내 3D 프린터 기술이 의학 분야에서 만큼은 선진국에 뒤지지 않는다고 특허청은 평가했다. 

실제로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백정환 교수팀<사진>은 지난 4월과 5월에 3D 입체 프린터를 이용한 부비동암 수술을 시행한 바 있다. 특허청은 "의학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될 수 있는 국내 3D 프린트 기술은 다양한 생체친화성 잉크 재료에 대한 연구를 가속화하게 될 것이고, 발전된 소재 기술은 한 차원 수준 높은 의학 기술을 낳게 될 것"이라며 "결손된 신체부위와 꼭 닮은 대체물을 버튼 하나로 손쉽게 출력해 내는 3D 프린트 기술이야말로 의학 분야에서 눈부시게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