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역외상센터 부재가 가장 큰 이유로 꼽혀...중증외상환자 전원율 다른 지역보다 높아

[라포르시안] 의료인력과 시설·장비 등 의료자원의 대도시 쏠림 현상은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특히 의료인력과 병원 분포가 서울에 집중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 환자들의 서울 대형병원 쏠림도 심각한 수준이다.

서울의 인구밀도가 다른 지역과 비교해 월등히 높다는 점을 감안하면 의료자원의 쏠림은 필연적인 현상이기도 하다. 서울의 큰 병원으로 의료자원이 집중되고 동시에 환자도 몰리면서 중증질환 환자 진료경험과 치료 술기는 더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의료자원 수급 불균형이 '큰 병이면 서울의 대형병원으로' 가야 하는 이유를 점점 더 고착화하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중증외상의 경우 이야기가 달라진다. 대형병원과 의료인력이 몰려있는 서울이지만 중증외상 환자의 예방가능한 사망률은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편이다.

보건복지부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실시한 전국단위의 외상으로 사망한 환자 사례 조사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7년도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19.9%로 2015년의 30.5%와 비교해 10.6%p 감소했다.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외상으로 인해 사망한 환자 중 적절한 시간 내에,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돼 적절한 치료를 받았다면 생존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사망자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번 조사연구는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누고 2017년에 중앙응급의료센터의 국가응급진료정보망(NEDIS)에 등록된 외상으로 인한 사망자 중 총 1,232명을 표본추출해 분석한 결과이다. 하여 분석하였다.

권역별로 보면 광주·전라·제주 권역의 경우 2015년 40.7%에서 2017년 25.9%로 14.8%p 낮아져 가장 큰 개선을 보였다.

인천·경기 권역의 경우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2015년 27.4%에서 16.7%로, 부산·대구·울산·경상 권역은 2015년 29.4%에서 16%로, 대전·충청·강원 권역은 2015년 26%에서 15%로 권열별로 최소 10.7%p에서 최대 15%p까지 낮아졌다

하지만 서울권역의 경우 2015년 30.8%에서 30.2%로 0.6%p 개선에 그쳤다.

의료자원이 몰려있는 서울권역의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개선이 가장 미흡했던 주요 원인은 이유는 권역외상센터 부재로 꼽혔다.

조사연구 결과 중증외상환자의 권역외상센터로 신속한 이송여부 등 크게 2가지 요소가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과 긴밀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다른 병원을 거치지 않고 권역외상센터에 직접 찾아간 경우 사망률은 15.5%로, 다른 병원을 한 번 거쳐서 도착했을 때의 31.1%, 두 번 이상 다른 병원을 거쳤을 때의 40%에 비해 크게 낮았다. 이송 수단에 따라서는 119 구급차로 내원한 경우의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15.6%로 다른 이송 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의료자원이 많고 의료접근성이 높은 서울 권역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개선정도가 크지 않은 것에 대해 “서울시에 중증외상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적정규모의 외상센터가 운영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전국 권역외상센터 분포(17개소)
전국 권역외상센터 분포(17개소)

당초 정부는 국립중앙의료원이 원지동으로 이전하면 여기에 서울지역을 담당하는 권역외상센터를 설치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국립중앙의료원 이전이 계속 미뤄지면서 서울권역 중증외상센터 설치도 지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서울 지역의 경우 중증외상환자 전원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국립중앙의료원의 '응급의료현황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8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중증외상 환자수는 전국적으로 12만5,240명에 달한다. 이 가운데 서울에서 발생한 중증외상 환자가 2만2,631명으로, 경기도(2만6,092명) 다음으로 많았다.

국립중앙의료원 외과 이진석 교수는 고려대 구로병원 중증외상수련센터가 지난 2018년 2월 개최한 외상 심포지엄에서 "서울은 대형병원에서 중증외상환자를 치료하기까지 평균 7시간 이상이 걸리고, 응급실로 내원한 중증외상환자 중 약 20%를 전원하고 있다"며 "중증외상환자 전원율이 서울이 가장 높다"고 지적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서울에서 발생한 중증외상환자는 가까운 응급의료센터로 이송되거나 경기도 권역외상센터로 전원된다.

중증외상환자의 응급상황 발생 이후 수술까지 골든타임이 1시간인 것을 고려하면 서울지역에서 발생한 중증외상 환자의 경우 권역외상센터 부재와 신속한 이송이 힘들다는 점에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다른 지역보다 높을 수밖에 없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