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관리서비스 활성화·마이데이터 사업 등 계기로 인슈어테크 추진

[라포르시안] 저금리로 인해 국내 보험업계가 운용자산이익률이 고객에게 지급해야 할 보험료 적립금 평균이율에도 미지 못하는 '역마진 쇼크'에 빠진 가운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플랫폼과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헬스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생명보험협회(회장 신용길), 손해보험협회(회장 김용덕),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회장 송승재)는 지난 23일 광화문 생명보험교육문화센터에서 ‘디지털헬스케어 생태계 조성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삼정KPMG의 김세호 상무는 ‘글로벌 보험사의 헬스케어 서비스 현황과 시사점’에 대한 발표를 통해 헬스케어 기반 로열티 플랫폼 고도화와 건강정보 융합을 통한 데이터 비즈니스를 글로벌 보험산업의 트렌드로 제시했다.

현재 글로벌 보험사인 디스커버리와 미국의 생명보험사인 존핸콕, 유나이티드헬스케어, 중국 핑안보험 등은 디지털헬스로 건강생활 습관 기반의 포인트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강력한 보험사 중심의 로열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포인트 시스템에 따른 리워드마켓으로 제휴 생태계를 확장해 헬스케어를 넘어 라이프케어 관점에서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편익을 제공하고 있다.

디지털헬스 기업과 보험사가 협업해 건강데이터를 접목한 지식 기반 서비스를 B2B, B2B2C의 형태로 제공해 고객만족도를 키우고, 새로운 보험상품 개발과 콘텐츠 발굴에 적용해나가는 추세이다.

김세호 상무는 “글로벌 보험산업에서 헬스케어 서비스의 주요 테마는 플랫폼과 데이터”라며 “정부, 의료기관, 보험사, 디지털헬스 기업이 협력해 고객의 브랜드 유입을 위한 혁신적 킬러 콘텐츠를 만들어 국민 건강증진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디지털헬스 스타트업인 휴레이포지티브의 최인수 팀장도 발제를 통해 “전통적 보험사는 헬스케어를 활용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해 새로운 고객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보험사와 디지털헬스 스타트업의 협업 필요성을 강조했다.

국내에서는 올해 정책적으로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 발표 ▲건강증진형 보험상품 개발 가이드라인 개정 ▲마이데이터 사업 ▲규제샌드박스 등이 잇따르면서 디지털헬스와 보험을 결합한 인슈어테크가 보험산업의 화두로 떠올랐다.

특히 지난해부터 정부가 개인의 주도 아래 스스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활용하는 마이데이터 사업을 의료와 금융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추진하면서 디지털헬스와 인슈어테크 간 융합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이와 함께 보건복지부가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 및 사례집’을 통해 비의료기관이 의료행위가 아닌 건강정보의 확인 및 점검, 비의료적 상담·조언과 같은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면서 건강관리서비스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헬스 생태계 조성을 위해 EAP(근로자지원프로그램)에 디지털헬스를 활용하는 등 적극적 기업 건강경영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주제발표에 나선 서울대 의대 윤영호 교수는 “국내 EAP에 건강증진, 질병예방, 만성질환 관리 등의 내용이 없는데, 기업에 건강경영을 도입한 미국, 일본처럼 디지털헬스를 EAP에 적용해 질병 감소와 생산성 향상 등 사회적 건강가치를 창출해야 한다”고 했다.

환자와 국민 입장에서 디지털헬스 생태계 조성을 위한 로드맵의 중요성 또한 강조됐다.

발제에 이어 진행된 토론에서 김미영 1형당뇨환우회 대표는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거나, 자가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위해 디지털헬스 생태계가 중요하다”며 “관리나 예방 차원에서 보험업계가 어떠한 것이 필요한지 환자 입장에서 생각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송승재 디지털헬스산업협회장은 “마이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충분히 제공 가능한 것들이 많은 만큼, 국민 선택권이 제한되지 않고 디지털헬스로 보장성이 강화될 수 있도록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