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30.5%서 2017년 19.9%로 낮아져...권역외상센터 확충으로 중증외상환자 최적의 치료환경 조성

[라포르시안] 권역외상센터 확충으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전국 단위의 외상으로 사망한 환자 사례를 조사 연구한 결과 2017년도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19.9%로 크게 낮아졌다고 10일 밝혔다.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외상으로 사망한 환자 중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돼 적절한 치료를 받았다면 생존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사망자의 비율이다. 

이 조사연구는 2015년도에 전국단위로는 처음 2ㅣ작한 이후 2년 주기로 실시하며, 앞선 2015년도 조사연구에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30.5%였으나 2년 만에 10.6%p가 감소한 것이다.

2017년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평가의 주요내용을 보면, 우선 권역별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모든 권역에서 낮아졌다. 특히 광주·전라·제주권역은 2015년 40.7%에서 2017년 25.9%로 14.8%p 낮아져 가장 큰 개선을 보였다. 

다만 현재 권역외상센터 개소를 준비하고 있는 서울권역은 2015년 30.8%에서 30.2%로 0.6%p 개선에 그쳤다.

이밖에 인천·경기권역 16.7%(2015년 27.4%, 10.7%p 감소), 부산·대구·울산·경상 권역 16%(29.4%, 13.4%p 감소), 대전·충청·강원 권역 15%(26%, 11%p 감소) 등 대부분 권역에서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최소 10.7%p에서 최대 15%p까지 낮아졌다.

이번 연구결과 중증외상 환자의 권역외상센터로 신속한 이송 여부 등 크게 2가지 요소가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과 긴밀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권역외상센터 소생 사례
권역외상센터 소생 사례

다른 병원을 거치지 않고 권역외상센터로 직행한 경우 사망률은 15.5%로 다른 병원을 한 번 거쳐서 도착했을 때의 31.1%, 두 번 이상 다른 병원을 거쳤을 때의 40%에 비해 눈에 띄게 낮았다.

이송 수단에 따라서는 119 구급차로 내원했을 때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15.6%로 다른 이송 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 같은 조사결과는 중증외상환자의 경우 119구급차로 신속하게 이송해 해당 지역 권역외상센터에서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배경은 중증외상환자 치료에 특화된 권역외상센터 개소와 정부의 집중적인 지원으로 분석됐다.

2014년 3개 센터가 개소하며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한 권역외상센터는 올해까지 14개가 문을 열었고 3개 외상센터가 개소를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부도 권역외상센터가 빨리 제도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전담인력 인건비 등 운영비를 지원하고, 외상수가를 신설하는 등 다양한 지원책을 지속적으로 마련 중이다. <관련 기사: 인력부족해 난린데....권역외상센터 지원예산 매년 30~40% 못쓴 이유는?>

권역응급의료센터가 확충되고(20개→41개소) 진료역량이 높은 권역외상센터와 권역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한 비율이 2배 이상 높아지는 등 중증도에 따른 적정 이송 증가도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 개선 요인이라고 밝혔다.

다만, 타 지역에 비해 의료자원이 많고 의료접근성이 높은 서울 권역의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선정도가 크지 않은 건 적정규모의 외상센터가 운영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 주요원인으로 지목됐다. 

윤태호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크게 개선된 것은 무엇보다 권역외상센터 의료진을 비롯한 여러 응급의료종사자들이 어려운 여건에서도 환자 치료에 최선을 다해준 덕분"이라며 "서울시와 협력해 조속한 시일 안에 서울지역 외상진료 기반도 확충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