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포르시안] 연명의료결정법을 시행한 이후 환자 본인이 직접 연명의료결정 서식에 서명한 비율이 법 시행 이전보다 29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 허대석 교수팀(유신혜 전임의, 김정선 전공의)은 2018년 2월 5일부터 2019년 2월 5일까지 연명의료결정 서식을 작성한 뒤 사망한 19세 이상의 성인환자 809명을 조사한 결과를 9일 공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환자 스스로 연명의료결정 서식에 서명한 비율은 29%(231명)으로, 법 시행 이전 1%에 비해 매우 높은 수치였다. 이는 2018년 2월부터 시행된 연명의료결정법에 따른 결과인 것으로 추정된다.

여전히 연명의료 결정의 71%는 가족에 의해 이뤄지고 있어 환자 본인의 의사를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명의료결정은 크게 ‘유보’와 ‘중단’으로 나뉜다. 유보란 처음부터 연명의료를 진행하지 않는 것이며 중단은 연명의료를 진행하던 중 그만 두는 것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본인이 연명의료를 결정한 경우(231명) 유보 비율이 98.3%(227명)이고 중단은 1.7%(4명)에 불과했다. 반면 가족이 연명의료를 결정한 경우(578명) 중단 비율은 13.3%(77명)로 집계돼 가족과 본인의 연명의료결정은 분명히 다른 양상을 보였다.

표 출처: 서울대병원
표 출처: 서울대병원

연명의료결정법 시행 후 임종을 앞둔 환자의 중환자실 이용률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으나 임종 1개월 내 중환자실 이용률은 2018년 2월 28%에서 2019년 1월 28.3%로 큰 변화가 없었다.

서울대학교 내과 허대석 교수는 “연명의료결정법 시행 이후 환자 본인이 직접 서명하는 비율이 급증했는데 이는 고무적인 현상”이라며 “다만 현행 연명의료결정법은 가족과 본인의 결정이 다른 경향을 보이는 점,  중환자실 이용률 감소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점 등 아직 개선해야 할 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