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통학회, 부모 대상 소아청소년 두통 실태조사...2명 중 1명 편두통 의심증상 호소

[라포르시안] 두통으로 학업에 지장을 겪고 잇는 소아청소년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에게 두통이 발생했을 때 올바른 진통제 복용방법에 대한 부모의 인식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두통학회(회장 김병건)는 ‘제4회 두통의 날(1월 23일)’을 맞아 모바일 리서치 전문기관 오픈서베이와 함께 두통을 경험한 소아청소년기 자녀를 둔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한 ‘소아청소년기 두통 현황 및 관리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23일 그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두통이 있는 소아청소년 2명 중 1명(58.4%, 292명) 꼴로 두통과 함께 메슥거림, 식욕부진, 눈부심 등의 편두통이 의심되는 증상을 경험했다.

하지만 편두통으로 진단받은 소아청소년은 4.2%(21명)에 불과했다. 편두통은 오심, 구토 등의 소화기 이상 증상을 동반하거나 빛이나 소리 등에 두통이 더욱 심해지는 특성이 있다.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은 두통의 강도뿐만 아니라 그 빈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두통 경험 횟수에 대해 ‘한 달에 1일~7일’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37.8%에 달했으며, 만성 두통을 의심해볼 수 있는 횟수인 ‘한 달에 8일 이상’ 겪는 소아청소년이 3.6%로 조사됐다.

두통으로 인한 일상생활 지장 여부에 대해서는 71.8%(359명)의 부모가 3개월 간 자녀가 두통으로 인해 1일 이상 결석이나 지각∙조퇴를 하거나 외부 활동에 참여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3개월간 두통으로 인한 평균 결석 일은 1.13일, 조퇴는 1.15일, 외부활동에 참여하지 못한 경우는 2.21일에 달했다.

두통을 경험하는 나이도 비교적 빠른 편이었다.

자녀가 두통을 처음으로 호소한 시기를 묻자 ‘학동기(37.8%)’에 이어 ‘학동전기(30.2%)’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소아청소년 2명 중 1명은 ‘학업 또는 부모, 교우 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54.6%)’로 인해 두통을 주로 호소했다.

조사에 참여한 부모들은 자녀의 두통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반면, 진통제 복용법에 대한 인식은 낮은 편이었다. 자녀가 두통을 호소하는 상황에서 대처 방법을 묻자(중복응답), ‘병∙의원을 방문(47.4%, 237명)’하거나, ‘진통제를 복용하게 했다(40.6%, 203명)’는 답변의 빈도가 높았다.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응답은 단 1.4%에 그쳤다. 또한 병∙의원을 방문한 시기도 ‘두통을 호소하고 나서 1개월 내(78.7%)’라고 답한 비율이 높았다.

두통을 호소하는 자녀가 진통제를 복용하는 시기에 대해서는 ‘참다가 두통이 심해졌을 때(57.2%)’를 가장 많이 꼽았다.

올바른 진통제 복용법을 묻는 질문에서도 ‘두통이 시작되는 초반에 바로 복용해야 한다(35.4%)’보다 ‘참다가 두통이 심해졌을 때 복용해야 한다(44.0%)’는 답이 더 높게 나왔다. 응답자 중 소수(3.8%)에서는 ‘진통제가 효과가 있을 경우 매일 복용해도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김병건 대한두통학회 회장(을지병원 신경과)은 “두통이 발생했을 때 적절한 대처를 하지 않고 통증을 참으면 오히려 스트레스로 이어지고, 이는 결국 두통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진통제는 두통이 발생했을 때 가급적 빨리 복용하는 것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되며, 진통제는 주 2회 이내로 복용하는 것이 좋다. 두통이 주 2회 이상 발생할 경우에는 시중에서 판매하는 진통제를 복용하기보다는 두통 전문의를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증상에 맞는 전문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