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서 '국가 치매연구개발 중장기 추진전략' 의결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모습. 사진 제공 국무총리실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모습. 사진 제공 국무총리실

[라포르시안] 정부가 2030년까지 치매발병을 평균 5년간 늦추고 환자증가 속도를 절반으로 줄이기 위해 관련 R&D 체계를 고도화 한다. 

정부는 14일 이낙연 총리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국가 치매연구개발 중장기 추진전략'을 의결했다.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는 2004년부터 3년간 열렸으나 정부 교체로 중단됐다가 11년만에 다시 열린 것이다. 회의에는 기재부, 교육부, 복지부 등 13개 부처가 참여한다. 

정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고령화 진행속도가 매우 빨라 치매환자와 치매관리비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치매환자 수와 관리비용은 2015년 65만명·13.2조원에서 2030년 127만명·34.3조원, 2040년 196만명·63.9조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국민들의 부담과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치매국가책임제'를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돌봄과 의료비 지원을 강화하고 있으나 이와 더불어 과학기술을 통해 효과적인 진단·치료방법도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이를 위해 ▲R&D ▲추진체계 및 인프라 ▲기술 사업화에 대한 3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dn선 무증상 단계에서 조기진단과 치료 기술개발을 강화하고, 다양한 치매 발병원인에 대한 탐색연구와 인공지능 등 ICT 및 로봇 기반의 돌봄·재활 기술 개발 등을 확대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복지부 공동으로 치매극복 대형사업인 '국가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해 부처 칸막이를 제거하고, 권역별 치매연구개발센터 지정 및 치매연구개발통합DB 구축 등을 통해 연구성과·정보 공유 활성화를 추진한다.

현재 국가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 중이며, 2020~2029년까지 총 5,826억원이 투입된다.

규제기관이 R&D 단계부터 참여해 기업들이 신속하게 인허가를 획득하도록 지원하고, 국민들이 조기에 체감하도록 치매 안심센터와 보건소 등 공공분야에서 우수 신제품에 대한 테스트 베드 제공 및 우선 구매를 지원해 나갈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맞춤형 컨설팅 제공·선제적 평가기술 마련, 첨단 바이오의약품 등에 대한 신속허가제 신설 등을 지원한다. 

정부는 이번 전략을 통해 2030년까지 치매발병을 평균 5년간 늦추고 환자 증가 속도를 50%까지 줄여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혁신적인 치매 진단·치료 기술 개발을 통해 글로벌 치매시장에서의 점유율도 높여나기로 했다. 

연평균 글로벌 치료제 시장은 2014년 128억불에서 2020년 211억불로 8.6% 성장하고 있다. 알츠하이머 진단 시장은 2016년 67.7억불에서 2022년 120억불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