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수급안정화 대책 마련...BCG 백신 등 비상 대비 현물 비축체계 구축

피내용 BCG 백신
피내용 BCG 백신

[라포르시안] 필수백신 수급 관리 부문에서 공공의 역할을 강화하는 정부의 첫 번째 중장기 계획이 마련됐다.

10일 질병관관리본부에 따르면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국가예방접종사업의 안정적이고 충분한 백신 공급을 위해 '필수예방접종 백신 수급 안정화 대책'이 수립됐다. 

이번 대책은 ▲안정적 물량 확보 및 공급원 다양화 ▲수급상황 파악 및 불안정 대비 긴급 대응체계 강화를 목표로 했다.

필수백신 수급 관리 부문에서 공공의 역할을 강화하는 정부의 첫 번째 중장기 계획이라고 질병관리본부는 설명했다. 

주요 대책을 보면 우선 총량구매 확대와 장기계약 도입을 추진한다. 

대부분의 필수 백신은 민간이 개별·소량 구매해 사용하고 정부가 직접 장기계약으로 구매하지 않아 제조·수입사 사정에 따라 공급 차질이 생기기도 했다.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단독으로 공급하거나 수입에 의존하는 백신부터 국가가 직접 총량·장기구매(3~5년)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지난 1월 글로벌 제약사 공급 우선 순위 조사 결과 장기계약 공중보건 위기상황, 해당 국가 특수상황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미 총량구매 방식 확대에 따른 조달계약 비용 5억4,600만원이 2019년 정부안에 편성됐다. 

남은 과제는 장기구매의 근거 마련을 위한 감염병예방법 개정이다. 

미국은 전체 백신의 절반 이상을 연방정부에서 직접 구매해 배분한다. 캐나다는 2001년부터 인플루엔저 대유행에 대비해 백신 제조업체와 3~10년 장기계약을 맺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비상 대비 현물 비축체계도 구축키로 했다. 지금까지는 공장가동 중단 등 공급이 중지되었을 때 즉시 정부가 사용할 수 있는 국내 현물백신의 보관·활용체계가 없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백신의 수입의존 및 단독공급 여부, 공급중단 시 접종지연 파급 등을 고려해 대상 백신을 정하고, 차질 대응에 필요한 3~6개월 분량을 비축할 계획이다. 피내용 BCG 백신 및 IPV 백신의 3개월분 비축 예산 4억1,400만원이 2019년 정부안에 편성됐다. 

비축 체계의 근거 마련을 위한 감염병예방법 개정안도 지난달 27일 국회에 발의된 상태다. 

수급불안 조기경보체계도 강화한다. 

현재는 제조·수입업체의 백신 수입·생산·공급의 시기와 규모 등의 연·월간 계획, 이행에 대한 현황 파악을 제때 하지 못해 수급 차질에 대한 조기 인지가 어렵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백신 제조·수입업체의 공급계획·실적 등 공급량과 접종량·폐기량 등 사용량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분석하고 수급전망을 예측하는 사전 알람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사전 알람체계의 원활한 수급관리 운영 지원을 위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내 국가백신사업지원TF단 신설을 추진한다.

공급 부족 때 신급상황 대응체계를 확립한다. 

공급 차질을 대비해 '특례수입' 등 제도를 운영 중이나 국내 미허가 또는 미사용 백신의 경우 안전성 등의 사전점검이 곤란하고, 국민과 의료계의 수용성 등의 이유로 제도가 활성화 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국내 미허가 또는 공급중단 백신을 적기에 특례수입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활성화한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대책 마련을 위해 지난 11월부터 올해 7월까지 '국가예방접종 백신 수급체계 개선 TF'를 구성해 논의했다"면서 "이번 대책을 통해 수급 불안에 대한 공공 안전망을 구축, 국민의 건강을 보호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2020년 이후 운영 예정인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를 통해 국내 백신의 자급화에도 적극 투자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