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협, 입원전담전문의 관련 설문조사 결과..."과도한 업무 로딩·인력부족으로 근무 꺼려해"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사진 제공: 순천향대 천안병원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사진 제공: 순천향대 천안병원

[라포르시안] 보건복지부가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입원부터 퇴원까지 환자진료를 직접적으로 책임지고 시행하는 '입원전담전문의' 제도 활성화에 공을 들이고 있다. 특히 입원전담전문의 활성화를 위해 수련병원에 전공의 정원을 추가 배정하는 당근까지 제시하고 나섰다.

하지만 전공의들은 '불안정한 고용' 등의 이유로 입원전담전문의로 진출하는 것을 꺼려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전공의협의회(회장 안치현)는 28일 입원전담전문의 인터뷰 질문 모집을 위해 지난 6월부터 전공의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설문조사에는 전공의 90명이 참여했다. 전공과로는 내과(36.67%)가 가장 많았고, 연차별로는 3년차(27.78%)와 4년차(27.78%) 등 고년차 레지던트가 주로 참여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공의들이 생각하는 입원전담전문의 진로의 가장 큰 단점은 '불안정한 고용(83.33%, 복수 응답)'이 꼽혔다. 현재 병원에서 활동 중인 대다수 입원전담전문의가 계약직으로 채용돼 고용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불확실한 진로(58.89%) ▲기존 과 의료진과 의견 충돌(58.89%) ▲잦은 야간 당직(57.78%) ▲사회적 지위 및 인식(33.33%) 등을 단점으로 들었다.

반면 입원전담전문의가 갖는 장점으로는 ▲근무 시간 조정의 자율성(57.78%) ▲대학병원 근무의 이점(57.78%) ▲연구 등 진료 외 업무 부담 최소(52.22%) ▲높은 연봉(40%) 순이었다. 입원전담전문의에 대한 ‘높은 관심과 장래성’을 장점이라고 꼽은 응답자는 6.67%에 그쳤다.

전공의들은 입원전담전문의 업무와 관련해 ▲업무 독립성 여부 ▲정년 보장, 정규직, 연금 등 고용 안정성 여부 ▲환자 수나 전담의 수, 외래, 당직 등 업무강도 및 근로환경 등에 대한 궁금증이 높았다.

서연주 대전협 홍보이사는 “입원전담전문의 제도는 환자와 의료진 모두 안전한 의료 환경을 위해 반드시 정착되어야 할 제도”라며 “시범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국의 사례처럼 신속한 활성화 및 보편화를 위해서, 정부는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의료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입원전담전문의들도 직업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입원전담전문의협의회가 지난 7월 내과계 입원전담전문의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55명 대상 24명 응답) 결과를 보면 입원전담전문의를 지원하는 데 가장 큰 장애물로 ▲직업 안정성(50.0%) ▲레지던트 업무에 대한 심적 부담(41.7%) ▲급여(33.3%) ▲새로운 역할에 대한 부담(29.32%) ▲근무여건(29.2%) 등을 꼽았다.

입원전담전문의들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입원전담전문의의 병원 내 역할 정립(87.5%) ▲점진적 급여 인상(45.8%) ▲고용의 안정성(41.7%)을 위해 병원이 노력해야 한다고 답했다. 정부에서는 ▲제도적 뒷받침(75%) ▲수가인상(70.8%) 등을 위해 힘써야 한다고 응답했다.

응답자 중 41.7%가 현재 근무여건에 만족한다고 답했고, 내년에도 근무할 의향이 있는 응답자는 62.5%에 그쳤다. 계속 근무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는 과도한 업무 로딩(58.3%), 인력부족(33.3%), 급여(33.3%) 등이 지목됐다.

입원전담전문의 제도가 주요 목적인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에 따른 의료인력 공백 해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병원 내에서 전공의법 준수 여부에 대해 '매우 그렇다(20.8%)’와 ‘그렇다(54.2%)’라고 응답한 비율이 75%를 차지했다.

각 병원의 입원진료를 담당할 인력부족에 대한 대한 대책으로 ‘입원전담전문의’가 79.2%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이어 PA(41.7%), 전공의 추가 업무 및 시간 조정(37.5%), 교수 당직(12.5%) 순이었다.

김준환 입원전담전문의협의회 홍보이사(서울아산병원 내과 진료전담교수)는 “만족도 및 지속적 근무의향이 지난해 설문 결과보다 낮게 나타났다”면서 “입원전담전문의가 과도한 업무 로딩으로 번-아웃 되지 않도록 제도적 정비 및 병원, 정부, 학회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