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협회, 회원사 대상 설문조사..."바이오산업 특성·개별기업 역량 고려한 논의 필요"

[라포르시안] 최근 들어 셀트리온과 차바이오텍 등 주요 바이오기업이 연구개발(R&D) 비용의 회계처리 방식을 둘러싼 논란으로 홍역을 치렀다.

연구개발비 비중이 높은 대표적인 산업인 제약·바이오 업종에서 R&D 비용을 '무형자산' 또는 '비용' 어느 쪽으로 처리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영업실적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르면 기술적 실현 가능성 등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R&D 비용을 무형자산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R&D 비용을 무형자산으로 과다 계상하면 회사의 자산과 영업이익 등 실적 부풀리기에 이용될 수 있다.

실제로 일부 바이오기업이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떨어지는 R&D 비용을 무형자산으로 인식해 영업이익을 부풀렸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이런 가운데 한국바이오협회는 지난 28일 판교 사옥에서 ‘R&D비용 회계처리방식’에 대해서 회원사들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바이오협회는 최근 R&D비용 회계처리방식에 관해 바이오 및 제약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6개사가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R&D비용의 회계처리기준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84%에 달했다. 

신약, 바이오시밀러 등 연구개발분야별 회계기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78%가 찬성했고, 특히 바이오신약 분야에서 90.9%의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R&D 단계별 비용자산화 적용기준에 대해서는 임상1상 개시와 임상3상 개시가 각각 2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임상 2상 개시 17.4%, 임상 2상 완료 8.7%, 품목허가 완료 후 8.7%, 임상3상 완료 4.3% 순이었다. R&D 자산화 기준을 정하지 말고 기업에 맞게 탄력적으로 적용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 회원사 관계자는 “창업 초기 연구개발비를 비용으로 처리할 경우 완전한 자본잠식 우려와 손익구조 악화로 정부과제 수주 및 투자 유치에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해 창업생태계 위축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일률적인 회계기준 적용보다는 개별기업의 실적과 역량을 판단해 회계 처리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또다른 회원사 관계자는 “연구개발이 주업인 바이오기업에게 연구개발비의 자산처리를 제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회계감리를 사후 적발보다는 기업과 감사인이 예방중심으로 회계처리방식을 지도해나가는 방향이 더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승규 바이오협회 부회장은 “국내 바이오산업은 이제 막 산업 개화를 시작한 시점”이라며 “산업 안착을 위한 회계처리 방식에 대한 논의는 일률적인 기준 보다는 산업적 특수성을 고려해 본격적으로 시작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