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포르시안] 서울시 강북구에 있는 국립재활원에 무기계약직 노동조합이 설립됐다.

20일 전국보건의료노조에 따르면 국립재활원 무기계약직 노동자 40여명이 지난 19일 보건의료노조에 가입원서를 제출하고, 국립재활원지부 설립총회를 열었다. 초대 지부장으로 물리치료사 고요한(36) 조합원이 선출됐다.

국립재활원은 보건복지부 소속 책임운영기관으로 6개 권역 재활병원에 대한 지원 및 장애인의 건강과 보건의료체계개선을 위한 연구와 교육을 담당한다.

현재 국리재활원의 인력은 국가공무원과 무기계약직, 기간제 및 간접고용 등의 비정규직으로 구성돼 있으며, 보건의료노조 국립재활원지부에는 무기계약직이 가입했다.

보건의료노조는 기존 국립중앙의료원 지부에 이어 지난 3월 국립암센터에 이어 국립재활원에 지부가 설립됨에 따라 주무부서인 보건복지부를 대상으로 국가중앙의료기관의 발전을 위한 정책 활동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6개 권역재활병원 가운데 강원도재활병원, 호남권역재활병원, 영남권재활병원, 충청권재활병원 등 보건의료노조 소속 권역재활병원지부와도 연계해 국립재활원이 추진하는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이 강화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우선 국립재활원 내 고용의 질 개선과 건강한 직장문화 만들기부터 주력한다.

보건의료노조에 따르면 국립재활원은 상시지속업무를 기간제 근로 계약으로 맺어오다 문재인 정부의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정책에 따라 올해 1월부터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했다. 하지만 무기계약직 노동자들의 처우는 이전과 달라진 게 거의 없다.

무기계약직 노동자는 함께 일하는 국가공무원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업무량이 많은 반면 자격수당을 받지 못하고 성과 측정에 따른 성과급 지급에서도 배제됐다. 경력인정과 복지포인트, 연차 사용에도 차별을 받는다.

무기계약직 연구원의 성과는 국가공무원 신분을 갖는 연구원의 실적으로 반영되고 무기계약직은 이에 대한 어떠한 보상도 없다고 보건의료노조는 지적했다.

고요한 초대 지부장은 “국립재활원 기간제의 무기계약직 전환은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 정책에 무늬만 따온 것"이라며 "같은 일을 하고 있음에도 차별적 처우가 너무나 많은 것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노조 설립을 계기로 차별적 처우를 개선하고 잘못된 직장문화를 바로잡는데 모든 힘을 쏟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민숙 보건의료노조 부위원장은 “국립재활원 무기계약직 노동자가 노동조합을 설립한 것은 이렇듯 시늉만하는 정규직화, 무늬만 정규직화가 아닌 진정한 노동조건 개선을 통한 정규직화로 나아가는 길을 찾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보건의료노조는 오늘(20일) 국립재활원 사측에 노동조합 설립 사실을 통보하고 임금 및 단체협약 체결을 위한 단체교섭을 요청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