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시맨틱스, 인식도 설문조사 결과

[라포르시안] 일반국민 2명 중 1명꼴로 '개인건강기록(PHR)'이란 용어를 들어본 적이 있지만 그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비율은 상당히 낮았다.

개인건강정보에 대한 공개와 이용 여부를 스스로 결정할 권리인 자기결정권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전 국민의 '투병기록'이나 다를 바 없는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민간보험사의 보험상품 연구개발을 위한 용도로 제공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을 빚은 바 있다.

이를 계기로 개인건강정보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일반국민의 인식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헬스기업인 라이프시맨틱스(대표이사 송승재)는 2016년 9월 26~28일, 2017년 9월 14~16일 사이 두 차례에 걸쳐 10~60대까지 313명(2016년 1차 조사 161명, 2017년 2차 조사 152명)을 대상으로 ‘개인건강기록 인식도’를 설문조사한 결과를 2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코엑스에서 열린 소프트웨이브 전시장을 찾은 일반 관람객(모집단 2016년 2만5천명, 2017년 2만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추출 방식으로 진행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개인건강기록이란 용어를 들어봤다’는 응답자는 1차 조사에서 57.8%, 2차에서 44.1%로 나타났다. 두 차례 조사결과의 평균치로 보면 2명 중 1명은 일상에서 개인건강기록이란 말을 들어본 셈이다.

개인건강기록이란 용어에 대한 인지도는 건강상 생애전환기를 맞는 40대에서 가장 높았다.

개인건강기록을 들어본 응답자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1차 조사에서 40대가 27.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30대 22.6%, 10대 19.4%, 20대 17.2%, 50대 7.5%, 60대 5.4%의 순이었다.

2차 조사에서는 40대 23.9%, 20대 22.4%, 30대 19.4%, 50대 16.4%, 10대 11.9%, 60대 5.9%의 순으로 분포했다. 1차 때와 비교해 2차 조사에서 50대의 관심이 7.5%에서 16.4%로 크게 높아졌다.

개인건강기록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응답자 비율은 낮았다.

개인건강기록이란 용어를 들어봤고, 개념과 범위까지 모두 정확하게 이해한다는 응답자는 1차 및 2차 조사에서 각각 전체 응답자의 8.1%, 2%에 그쳤다.

라이프시맨틱스 관계자는 “남성은 40~50대 중년층, 여성은 20~30대 젊은층을 중심으로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지만 대부분 용어만 들어봤을 뿐 개념과 범위에 대한 이해는 저조했다”며 “개인건강기록이 자신의 진료데이터와 유전체데이터, 라이프로그를 총칭하는지 아직 잘 모르고 있다”고 했다.

일상에서 디지털 헬스 활용은 증가세를 보였다. 스마트폰 앱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개인건강기록을 관리한 적 있는가를 묻는 질문에 1차 조사에서는 응답자는 16.8%가. 2차 조사에서는 32.2%가 '관리한 적 있다'고 답했다.

집에서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헬스케어 서비스가 앞으로 중요해질 것이란 전망에 공감한다는 응답 비율은 2차 조사에서 86%에 달했다. 응답자의 78%는 이런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자신의 개인건강기록을 제공할 수 있다’고 답했다.

디지털 헬스에 대해 커진 관심만큼 개인건강정보의 자기결정권도 한층 강화되는 흐름을 보였다.

개인건강기록의 소유 주체를 개인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31%(1차 조사)에서 88%(2차 조사)로 3배 가까이 커졌다. 국가기관이 개인건강기록을 관리하고 활용하려면 개인의 동의부터 받아야 한다는 답변도 42%(1차 조사)에서 76%(2차 조사)로 확대됐다.

의료기관의 개인건강기록 관리와 활용에는 더 부정적이었다. 개인의 동의를 전제로 허용하겠다는 응답(1차 조사 36%, 2차 조사 44.7%)보다 허용하지 않겠다는 응답(1차 조사 42.9%, 2차 조사 49.3%)이 더 많았다.

라이프시맨틱스 송승재 대표이사는 “개인건강기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헬스는 개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을 도와 환자 권익을 향상시키고, 한정된 의료자원을 효과적으로 배분해 의료접근성을 제고하는 기본 수단”이라며 “시민단체들이 말하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개인정보의 자기결정권 보장 및 재산권 고려 등의 논의가 실현되도록 돕는 만큼 대중에게 디지털 헬스를 적극 알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