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포르시안] 실명을 부르는 황반변성과 흡연의 상관관계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은 25일 안과 김성수·임형택(사진, 왼쪽부터)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 검진코호트로 자료를 이용해 아시아인의 흡연과 습성 황반변성의 관계를 규명했다고 밝혔다. 

검진코호트는 2002~2003년 사이 국가검진을 받은 40세 이상 성인수검자의 약 10%인 51만명이 2013년까지 의료기관을 이용해 발생한 건강보험 청구내역 자료이다.

연구팀은 민건강보험 국가검진에서 흡연에 대한 질문을 사용해 2009년 8월부터 2013년 12월 사이에 습성 황반변성 발생이 얼마나 일어났는지 살폈다. 다만, 여성은 흡연여부를 밝히는 데 제약이 따른다는 점을 감안해 남성 집단만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나이·체질량·신체활력징후·동반질환 등 성향점수를 활용해 비슷한 수준의 흡연집단과 비흡연집단으로 구분하고 비교 연구를 했다. 두 집단에는 각각 6만4,560명이 동일하게 배정됐다.

조사기간 동안 습성 황반변성 환자는 비흡연 집단의 경우 154명, 흡연집단에서는 227명이 각각 발생했다. 

위험비로 환산하면 흡연집단이 비흡연 집단 보다 약 50% 더 높은 발생확률을 보였다.

연구팀은 흡연집단을 보다 세밀화해 습성 황반변성 발생 상관관계를 연구한 자료도 발표했다. 흡연집단은 과거 흡연을 했으나 현재는 금연 중인 집단(1만9,688명)과 현재도 흡연을 유지하는 집단(44,872명)으로 나눴다. 

조사기간에 금연집단에서는 60명, 현재 흡연집단에서는 167명의 습성 황반변성 환자가 발생했다. 

이를 비흡연 진단과 비교하면 금연집단은 21%, 흡연집단은 65% 더 높게 습성 황반변성 발생 확률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수 교수는 "아시아인에서 흡연과 습성 황반변성 발생사이 관계를 명확히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현재 흡연을 유지하는 집단보다 금연집단에서 발생 확률이 낮다는 점은 한쪽 눈에 습성 황반변성을 지닌 환자나 건성 황반변성 환자 등 고위험 집단에서도 금연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안과학회지 최근호에 '흡연과 습성황반변성 국가기반 코호트 연구'라는 제목으로 실렸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